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증강현실 지도 위에 재생시켜 본다. 친구들이 찍은 사진을 모아 지도 위에 지역별로
구분
해서 보니 여행을 다시 하는 기분이다.증강현실은 가상현실과 실제세상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다. 하지만 세상에 감춰진 정보를 끄집어내 그 위에 덧칠하는 증강현실은 어쩌면 실제 세상보다 더 큰 세상을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지만 거미는 다리가 8개에 날개가 없어요. 어때요? 이제 곤충과 거미가 확실하게
구분
이 됐죠?깡충거미는 다리 하나에 평균 7만 8000개의 털이 나 있는데 거미의 다리가 8개라는점을 생각하면 모두 60만여 개의 털을 갖고 있는 셈이죠. 8개의 다리에 있는 털이 모두 벽에 붙으면 거미 체중의 약 16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현재 개발중소프트웨어의 개발 보수 신뢰성 등을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중요연
구분
야로는 프로그램개발의 표준화, 잘못된 프로그램의 자동체크, 기밀보호방식의 개발 등이다 소프트웨어가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최근에 정착한 학문이다지난 85년 프랑스가 적도상공 8백30km 고도에 띄워올린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해명하려는 생물학 좁은 뜻으로는 유전정보의 발현기구인 분자적 기초를 밝히려는 연
구분
야를 의미한다1950년대부터 급속히 진전되면서 기초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유전자공학을 대표하고 의료·약품·식품·농업 등의 응용면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진 기부에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림이 나타나는데 띠가 투명하기 때문에 안팎에서 그림이 보인다. 즉 앞뒤의
구분
이 없다는 뜻이다. 이제 뫼비우스의 띠에 밑변의 길이가 1cm, 높이는 2cm, 직각은 오른쪽에 있는 직각삼각형이 나타났다.그런데 이 삼각형에서 직각이 오른쪽에 있다고 할 수 있을까. 직각삼각형을 뫼비우스의 띠를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느끼는 추상세포만 갖는다. 따라서 색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진다. 하지만 명암을
구분
하는 간상세포는 개보다 더 많다.특히 망막 뒤편의 반사판은 망막을 통과한 빛을 거울처럼 다시 망막으로 반사해 어둠 속에서도 잘 보이게 해준다. 밤에 고양이의 눈이 빛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예민한 수염도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분분하기 때문이다.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원 교수는 “지구의 모든 생물을 COⅠ 유전자로
구분
하는 것은 무리”라며 “핵 속 DNA인 18S rDNA나 16S rDNA를 복합적으로 이용해 분류하는 방법이 최근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rDNA(리보솜 DNA)는 세포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소기관인 리보솜을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 병아리 로봇은 진짜 병아리들과 섞어 놓으면 어떤 것이 진짜 병아리고, 로봇인지
구분
이 안갈 정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센서가 장착되어 만져 주면 몸을 조금씩 떨거나 날개를 퍼덕거리고 삐약거리기도 한답니다. 이 병아리 로봇은 젊은 여성들을 겨냥해 나온 애완용 로봇이며, 먹이를 주지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매크로글로불린이 혈액 중에 증가된 상태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구분
되며 속발성은 골수종 · 악성림프종 · 암 · 세망증 · 간경변증 · 교원병 · 만성감염증 등에 소발한다원발성에는 특이한 증후는 없고, 매크로글로불린 농도가 낮은 것으로 검출된다원발성은 나이가 많은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병원이나 안경원에서 사용하는 시력검사표는 ‘보통 사람이 흰 바탕에서 검은 물체를
구분
해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시각(視角)은 1′’라는 원리를 바탕에 두고 만들어졌다. 즉 최소시각을 분으로 나타낸 뒤 역수를 취하면 시력이 나온다.예를 들어 1′ 떨어져 있는 두 점을 구별할 수 있으면 시력이 1.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