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첨벙!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아라비아해, 벵골만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은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데, 태평양에서 발생하면 ‘태풍’, 대서양에서 발생하면‘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사건 분석 ➊ 고향이 어디야?그렇다면 내가 우리 고향에 대해 이야기를해줘야겠군요. 그런데 명색이 명탐정한테 ...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9호
-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져 수십㎝ 크기의 물체도 구분할 수 있게 돼.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거나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일도 얼마든지 가능해. 이처럼 미래 사람들의 생활은 크게 변했단다. 어떻게 변했는지 가까운 미래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어 볼까?나츠미 양(10세, 학생)의 이야기저번에 ...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궁금한걸?몸이 변한다?우주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무중력으로 몸이 둥둥 뜨고 위아래의 구분이 없어져. 무척 재미있는 경험이겠지만 방향감각을 잃어 멀미가 심하게 나지. 많은 훈련을 받은 우주인도 멀미로 고생한대. 우주에서 하루나 이틀이 지나면 키가 커져. 지구에선 척추 사이의 연골을 중력이 ...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7호
- 유성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되었으니, 이번에야말로 제대로 영화를 보면서 상상과 사실을 구분할 수 있을 거라는게 닥터고글의 생각이었다.제트를 타고 도착한 자동차극장에선 유성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를 다룬 판타지 영화‘스타더스트’가 막 시작되고 있었다. 역시 상상력이 넘치는 영화가 ... ...
- 용을 꿈꾸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7호
- 넘기 때문에 물체의 작은 움직임도 잘 볼 수 있어요. 그 대신 움직임이 없는 물체는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해요. 잠자리의 날개는 좌우에 2장씩 모두 4장이에요. 얇고 투명한 막처럼 생긴 이 날개는 가볍고 튼튼하지요. 잠자리는 다른 곤충과 달리 앞날개와 뒷날개를 엇갈려 움직이며 날아요. 그래서 ...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3호
-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바다의 환경이 달라서 크게 동해, 서해, 남해, 제주도 해역으로 구분해. 서해는 갯벌이 유명하고 동해는 차가운 바닷물과 따뜻한 바닷물이 만나는 곳이야. 남해는 섬이 많고 제주도는 다른 바다보다 바닷물이 따뜻하지. 그래서 각 바다의 특징에 맞춰 바다목장을 만들고 있어. ...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수 있다 그리스의 히파르쿠스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을 1등성 2등성··· 6등성으로 구분했다 즉 맨눈으로 관찰 가능한 가장 어두운 별이 6등성이다 그후 1등성과 6등성의 밝기는 약 1백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망원경을 사용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별도 발견됐고, ...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통해 다른 생물들의 생존연대가 결정되고, 지질시대의 연대구분이 이뤄진다 표준화석이 되려면 그 분포가 범세계적이어야 하고, 그 생존연대는 단기간이어야 하며(한마디로 굵고 짧게 산 종(種)이 표준화석으로 채택되기 쉽다), 진화의 속도가 빨라야 한다 그 이유는 ... ...
- 헬리콥터 100년史과학동아 l2007년 12호
- 구분을 3의 배수로 하고 주파수와 파장의 곱이 전파의 속도라는 점에서 파장도 10배마다 구분할 수 있다 가령, 현재 TV주파수로 쓰이는 VHF(very high frequency)나 UHF(ultra high frequency)는 각각 주파수 30∼3백MHz에 파장 10∼1m, 주파수 3백∼3천MHz에 파장 1∼01m의 범위를 갖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색각정보를 담고 있는 칩 하나만 있으면 지하철 노선도의 색을 구분하는 일도, 지도를 보는 일도, 홈쇼핑으로 잘 익은 사과를 구매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웹디자이너라는 직업도 도전해볼 만하다.미국 컬럼비아대 메디컬센터 올리버 색스 교수의 ‘색맹의 섬’이란 책에는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