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및 개체 발생적으로 보면 오래된 것 순으로 구피질 · 고피질 · 신피질의 셋으로
구분
되는데, 구피질과 고피질을 통틀어 변연피질이라 한다 전파(電波)가 대류권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파 되는 현상 특히 초단파 이상의 전파의 특성은 대류권 내의 굴절률 높이에 따른 변화, 즉 기상조건과 관계가 있다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갔을 때 만난 할아버지는 머지 않아 먼 산자락에 있는 동물이 말인지 양인지 다시
구분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명 ‘시력 4.0’을 만드는 일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바다(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딱새 가운데 흰 뺨에 검은 점이 있는 참새를 찾아낸다. 새를 관찰하면서 분류학적으로
구분
하는 작업을 ‘동정’(同定)이라고 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 뚜렷한 특징을 ‘동정 포인트’라고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다.능숙하게 필드스코프의 초점을 맞추고 “비오리 셋에 ... ...
분자로 만든 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구나 서로 다른 ‘분자 북’이 내는 고유한 소리를
구분
할 수도 있다.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하리 마노하란 교수팀은 모양이 각기 다른 분자 북을 만들어서 그 안에 전자를 넣고 진동시킨 뒤 소리를 관측해 비교한 결과를 ‘사이언스’ 온라인판 2월 8일자에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섞여있는 혼합플라스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문제는 육안으로 플라스틱의 종류를
구분
하기 어렵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특히 PVC는 가열하면 염화수소와 다이옥신을 배출하고 재활용된 다른 플라스틱의 품질을 떨어뜨리므로 반드시 걸러내야 할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때문에 대신 쓴맛을 잘 느끼도록 진화한 것이다. 이쯤 되면 냄새와 맛만으로 쥐약을
구분
하는 레미의 능력이 그리 놀랍지도 않다!쥐꼬리 상식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생물학자 파둘이 만든 쥐는 일반 쥐보다 무려 1만 배나 냄새를 잘 맡는다. 냄새를 맡는데 관여하는 kv1.3 단백질을 없앤 결과, 이런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
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다음 한없이 세분했을 때의 극한(極限) 값으로 본래의 도형의 면적 또는 체적을 구하는 방법 구상이나 회전타원체(回轉楕圓體)에 가까운 형상의 단백질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일기 변화 · 대규모 일기 분포의 특정 · 계절적 변화 · 기후대의 분포와 분류 · 기후
구분
· 대기 대순환의 양상 등을 여러 기단의 소장(消長)과 교체에 의거해 설명할 수 있다 왜신성(矮新星)에 속하는 불규칙 변광성 변광을 반복하다가 때때로 일정 광도가 되어 상당히 오랫동안 그 밝기를 유지하는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진행하기도 한결 수월할 텐데 말이다.안 단장은 “적조와 부유물을 흡광도에 따라
구분
하듯 기름의 광학·물리적 성질을 감지해낼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해마다 가두리어장을 휩쓸고 지나가는 적조부터 갑작스러운 해양오염사고까지 한반도 주변 ... ...
스스로 생각하는 스마트 웹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언어가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은 곤충 ‘파리’와 프랑스의 수도 ‘파리’를 의미로
구분
하지만, 컴퓨터는 정보를 문법단위로 인식해 이 둘을 같은 단어로 본다.버너스리 박사는 1999년 시맨틱 웹이라는 개념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시맨틱(semantic)은 말 그대로 사용자의 ‘의미’와 ‘의도’를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