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도감을 만드는 이유는 ‘재미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전유경 편집기획팀장은 생물학과를 나왔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 길게 보고 도감을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잘 안 팔리고 작업도 어려운 건 맞아요. 그래도 간혹 사람들이 관심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었다."밤하늘에 떠 있는 별 같은 박테리아""아픈 스토리예요." 조장천 인하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8월 6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어렵게 말을 꺼냈다. 조 교수는 박테리아(세균) 분야의 세계적인 신종헌터다. 10년 전 새로운 문(門)에 해당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해 세계를 놀라게 한 사건에 대해 그에게 ...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공부도 잘하고,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결혼생활을 했답니다.또 미국 뉴스쿨대학교 심리학과 하워드 스틸 교수가 100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어요. 그 결과, 1~6세 때 아빠가 자주 목욕시킨 아이들의 3%만이 10대가 돼서 친구를 사귀는 데 문제를 겪은 반면, 아빠와 목욕한 적이 없는 아이들의 30%가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복잡한 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나의 결론이었다.현재 나는 생물학과 의학에 유전공학 기술을 접목해 뇌 회로의 각 단자를 조절해 가면서 뇌세포의 반응을 살펴보고 있다. 스마트폰에 비유하면 이것저것 눌러보고 조작해 가면서 어떤 신호 자극을 보냈을 때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지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지난 여름을 뜨겁게 달군 것 중 하나는 아이스버킷 챌린지다.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돕기 위한 기부 이벤트로 벌어진 이 행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등의 유명인사가 참여하면서 전세계에 유행처럼 번졌다. 그런데 그 중심에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SNS가 자리잡고 있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팀이 있다. 바로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이제희 교수 연구팀이다. 독자기자들이 인체운동학과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관계를 직접 물어봤다.강민정 : ‘인체운동학’은 조금 생소한 학문인데요,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이제희 교수 : 인체운동학이란 간단히 말해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음악은 왠지 부자연스럽게 들리기도 한다. 그 이유가 뭘까.최근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홀거 헤닝 교수팀은 사람이 연주한 음악과 컴퓨터가 연주한 음악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가 특정한 수학적 패턴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전문 음악가 한 명과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적 ... ...
- [뉴스포커스] 제13회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 수학 부문 수상자 발표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잘 파악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또 다른 심사위원인 김수연 영남사이버대 논술지도학과 교수는 “학생들은 수학을 어쩔 수 없이 공부해야 하는 딱딱한 과목으로 생각하지만, 수학을 주제로 한 다양한 서적을 읽으면 수학의 다른 얼굴들을 마주할 수 있다”며, “학생들이 수학을 즐기면서 배울 수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이견을 보였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에 대한 생각은 어떨까? 서울대 언어학과 권재일 교수는 한글의 특별함을 3가지 이유를 들어 설명했다. 첫째,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세계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언어에도 고유의 문자는 없다. 모두 라틴문자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