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었다."밤하늘에 떠 있는 별 같은 박테리아""아픈 스토리예요." 조장천 인하대 생명과
학과
교수는 8월 6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어렵게 말을 꺼냈다. 조 교수는 박테리아(세균) 분야의 세계적인 신종헌터다. 10년 전 새로운 문(門)에 해당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해 세계를 놀라게 한 사건에 대해 그에게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도감을 만드는 이유는 ‘재미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전유경 편집기획팀장은 생물
학과
를 나왔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 길게 보고 도감을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잘 안 팔리고 작업도 어려운 건 맞아요. 그래도 간혹 사람들이 관심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못했던 제3의 충격을 겪었다고 발표했다. 이 충격은 쓰나미에 비유됐다. 미국 칼텍 천문
학과
의 에드 스톤 박사는 발표에서 “성간공간은 보통 평온한 호수와 같지만, 태양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면 충격파로 일렁인다”고 말했다. 이 충격파는 태양에서 폭발이 일어난 지 1년 뒤에 내게 전달된다.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
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복잡한 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나의 결론이었다.현재 나는 생물
학과
의학에 유전공학 기술을 접목해 뇌 회로의 각 단자를 조절해 가면서 뇌세포의 반응을 살펴보고 있다. 스마트폰에 비유하면 이것저것 눌러보고 조작해 가면서 어떤 신호 자극을 보냈을 때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지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음악은 왠지 부자연스럽게 들리기도 한다. 그 이유가 뭘까.최근 미국 하버드대 물리
학과
홀거 헤닝 교수팀은 사람이 연주한 음악과 컴퓨터가 연주한 음악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가 특정한 수학적 패턴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전문 음악가 한 명과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적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지난 여름을 뜨겁게 달군 것 중 하나는 아이스버킷 챌린지다.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돕기 위한 기부 이벤트로 벌어진 이 행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등의 유명인사가 참여하면서 전세계에 유행처럼 번졌다. 그런데 그 중심에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SNS가 자리잡고 있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
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팀이 있다. 바로 서울대 컴퓨터공
학과
이제희 교수 연구팀이다. 독자기자들이 인체운동
학과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관계를 직접 물어봤다.강민정 : ‘인체운동학’은 조금 생소한 학문인데요,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이제희 교수 : 인체운동학이란 간단히 말해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보고 그 사람이 믿을 만한 사 람인지 판단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심 리
학과
조나단 프리먼 교수팀은 실험 참여자들에게 1초 도 안 되는 짧은 시간 동안 사람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신뢰할만한지 혹은 신뢰하기 어려운지 말하게 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사진을 흘끔 본 것만으로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미국 예일대 생명윤리 학제간 센터웬델 월러치 교수와 인디애나대 과학철학사 및 인지과
학과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