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누구일까.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켄트대 생물학과 다렌 그리핀 교수팀이 닭과 칠면조를 비롯해 잉꼬, 금화조 등 현존하는 새 21종의 유전체(게놈)를 비교한 결과, 닭과 칠면조의 유전체가 원시 조류와 가장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는 ‘국제 조류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신호상 공주대 환경교육학과 교수는 “액상에 든 것보다 10~100배 더 많은 포름알데히드가 증기에서 검출됐다”며 “가열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일반담배 연기에서 검출되는 양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4000종 이상의 유해물질이 든 ... ...
- [Fun] 당신이 필요하다, 몹시 절박하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난 60년 간 과학자로 살아왔다. 그 과정에서 얻은 과학의 길과 과학자의 삶에 대한, 철학과도 같은 깨달음을 스무 통의 편지로 묶었다.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과 젊은 과학도들이 왜 반드시 성공해야만 하는지 그 당위와 책임감, 그리고 학생들에게 꼭 전하고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아버지, 프란시스 할젠아이스큐브 책임연구원,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Q 어떻게 남극에 아이스큐브를 설치해 우주에 대해 연구할 생각을 했나요?A 빛의 입자와 닮았지만, 빛과 달리 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는 중성미자가 항상 궁금했어요. 그러다 1980년대에 막연하게 ‘남극 얼음 ... ...
- 사람을 닮고 싶은 로봇의 꿈 인조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박사는 ‘불쾌한 골짜기’로 설명했어요. 천으로 만든 인형이나, 2004년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팀이 개발한 인간형 로봇 ‘휴보’는 사람과 많이 닮지는 않았기 때문에 귀엽거나 신기하지요. 그렇지만 제미노이드나 인공 손은 실제와 너무 닮았기 때문에 오히려 반감을 준다는 설명이에요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매우 비슷해 보여! 그렇다면 바나나 껍질로 스키를 탈 수 있을까? 유천열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님께 직접 물어봤어.Q 바나나 껍질로 스키를 탈 수 있을까요?스키를 탈 수 있는 것은 눈이 스키 바닥에 닿을 때마다 녹아 물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바나나 껍질에 있는 졸 상태의 과립처럼 물이 스키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휘이~잉~.’으악~! 또 바람이 불기 시작했어. 내가 왜 이렇게 바람을 싫어하냐고? 바람이 불면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잖아. 거리에도, 공원에도 온통 낙엽투성이가 된다고. 이것 봐! 분명 아침에 깨끗하게 쓸었는데 벌써 이렇게 낙엽이 또 잔뜩 쌓였어. 휴~. 가을만 되면 이렇게 잔뜩 생기는 낙엽,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아, 아아…. 마이크 테스트 중. 하나둘, 하나둘! 흠흠! 바쁘신 와중에도 이렇게 자리를 빛내 주신 신사 숙녀 여러분 정말 감사합니다. 10년 동안 변함없이 출연 중인 의 미남 캐릭터 썰렁홈즈입니다. 호오~~, 박수~! 흠흠…. 그럼 지금부터 우주 최고 인기 과학만화잡지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같은 합리화 전략을 많이 쓴다.자신에게 너그러울수록 발전 가능성도 커미국 듀크대 심리학과 마크 리어리 교수도 비슷한 결과를 내놓았다. 참가자에게 인생에서 가장 큰 실패를 떠올리게 하고 두 가지 방향으로 대응을 하게 했다. 한 집단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라’는 식의 자존감을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럼 화성은 왜 질량이 지구의 10분의 1밖에 안 되냐고요? 미국 시카고대 지구물리학과 니콜라스 다우파스 교수팀의 연구 결과, 다른 행성들은 보통 성장하기까지 수천 만 년이 걸리는 데 비해 화성은 200~300만 년 만에 급격히 커진 뒤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피해 지금의 크기가 됐다고 해요. 화성은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