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연구팀은 이런 합금 제조 방식을 열탄소 충격(Carbothermal Shock, CTS)이라고 명명했다.
논문
을 통해 연구팀은 “CTS 방법이 나노 크기의 금속 연구를 위한 우수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모르는 상태였다. 학술지 ‘실험의학저널’ 최신호에는 문신의 미스터리를 규명한
논문
이 실렸다. 결론부터 말하면 진피에 있는 대식세포(macrophage)가 문신 안료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계의 구성원으로 몸에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외부 이물질이나 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배터리 수명과 안정성 검증 등 상용화까지 이르려면 숱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논문
의 범위인 2025년까지는 전기차용 코발트 프리 배터리가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필자는 얼마 전 7년 동안 쓰던 노트북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새로 하나 장만했다. 고쳐 쓸까 하다가 배터리도 바꿔야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방출되며 블랙홀이 서서히 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3년 호킹 복사를 첫
논문
주제로 택했던 이필진 고등과학원 물리학과 교수는 “(서로 물과 불처럼 상극이던) 중력이론과 양자이론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는 지금까지도 풀리지 않은 물리학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특이점, 즉 빅뱅(big band)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66년 호킹은 이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
논문
을 썼고 대학에서 에덤스상을 받았다. 1970년 호킹은 블랙홀로 관심을 돌렸는데 당시는 블랙홀에 대한 관찰 증거가 전혀 없던 시절이다. 1975년 호킹은 양자이론과 상대론을 결합해 블랙홀도 전자기파(빛)를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이 우주 전체가 하나의 특이점에서 탄생했어야 한다는 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논문
을 발표했다. 이후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영화 ‘인터스텔라’로 잘 알려진 미국 이론물리학자 킵 손과 러시아 물리학자 야코프 젤도비치와 교류하며 블랙홀과 양자물리학, 상대성이론의 결합이 필요함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소유자를 한 명 만난 적은 있다. 당시 ‘과학동아’에 특집으로 공감각을 다루면서
논문
만 정리해 기사를 쓰는 건 재미없다고 판단한 필자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 공감각 경험자를 찾는다는 글을 올렸고 이를 보고 카이스트의 한 학생이 이메일을 보낸 것이다. 숫자나 글자(주로 자음)를 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포멜로에 더 가깝다. -강석기 제공 그 뒤 종종 이 그레이프프루트를 사 먹는데
논문
과 관련 자료를 읽다 보니 이게 포멜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포멜로가 이렇게 맛있을 것 같지는 않다. 자료를 좀 더 살펴보니 그레이프프루트를 포멜로와 교배해 얻은 오로블랑코(Oroblanco)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경향이 있다는 유드킨의 발견을 재현하는데 실패했다. 결국 1970년 ‘랜싯’에 발표한
논문
에서 “설탕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희박했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이듬해 62세의 유드킨은 학계에서 은퇴했다. 한편 헤그스테드는 1977년 미 상원 위원회의 ‘미국을 위한 식단 목표’라는 제목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1mM 농도로 포함된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거의 다 살아남았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이번 연구의 발견은 다른 동물에서도 칼슘 이온의 맛이 불쾌하게만 감지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썼다. 사람과 초파리는 오래 전에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각자 미각 수용체를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