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노벨상 수상자 기조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25일 오후 1시부터 경남 창원에서 개최되는 한국물리학회 가을학술
논문
발표회에서 기조강연을 펼친다. 아마노 교수는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사회 실현을 위한 혁신적 전자공학’이라는 주제로 강의하며, 질화물(nitride) 반도체가 가져올 기술 혁신과 사물인터넷 구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작물화하는 시도가 진행됐다. - Sebastian Soyk 제공 야생 토마토와 꽈리 작물화 시도에 관한
논문
들을 읽다 보니 문득 대저 토마토가 떠올랐다. 1950년대 김해군 대저면(현재 부산 대저동) 낙동강 삼각주 평야에서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대저 토마토는 향미가 꽤 강하다. 주스를 만들 때 넣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은여우 각각 12마리에 대해 뇌에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이 실렸다. 그 결과 전전두피질에서 유전자 146개, 기저전뇌에서 유전자 33개가 차이를 보였다. 전전두피질과 기저전뇌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비롯한 정보를 처리하는 곳으로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982년 국제학술지 ‘수면(Sleep)’에 발표한 ‘기본휴식활동주기-22년 후’라는 제목의 리뷰
논문
에서 클라이트만은 자신의 이론을 지지하는 다양한 연구사례를 소개했다. 즉 식욕과 목마름, 흡연욕구 등이 평균 96분의 주기로 오르내린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복잡해 주의력이 있어야 하는 과제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한
논문
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등을 썼다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다소 억지처럼 보이지만 아무튼 가능성이 없는 얘기는 아니다. 그런데 이번 ‘셀’
논문
에서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인트론 영역이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다는 게 밝혀져(즉 선택된 게 아니다) 이런 주장이 설득력을 잃은 것이다. 이처럼 2007년 이래 FOXP2는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진통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면역질환도 치료한다? 리뷰
논문
을 보면 현재 여러 동물에서 발견한 독액 성분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제 후보물질로 연구되고 있다. 먼저 청자고둥의 인슐린이다. 청자고둥은 껍데기가 두껍고 아름다워 조개 수집가들이 좋아하는 복족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선을 그었다. 리버먼 교수와 마찬가지로 지름길은 없다는 말이다. 필롤라 교수는
논문
에서 복부지방을 줄이는데 좋은 식단 두 가지를 추천하고 있다. 대시식단과 지중해식단이다. 대시식단(DASH diet)는 고혈압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심장폐혈액연구소(NHLBI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PTS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64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다. 서상원 성균관대 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문의)는 “극심한 스트레스나 큰 충격도 알츠하이머병과 연관성이 있다. 하지만 이런 효과는 수십 년에 걸쳐 나타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화학적 감각’에는 OR1D2가 원인불명 남성불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시사하는
논문
이 실렸다. 즉 불임인 남성 14명과 젊은 아빠 23명을 대상으로 꽃향기가 나는 분자 세 가지를 맡게 해 냄새 강도를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헬리오날(helional)과 PEA는 두 그룹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유독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