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영역 빛을 제어할 수 있는 편광기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테라헤르츠 편광기가
특정
폭발물의 화학적 지문을 확인하는 보안 설정 등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통신·센서·의료영상·화학물질 확인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로 한 겹의 벽을 만들어 시험해 본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음성언어의학연구소장은 “발음에는 혀의 섬세한 조절이 필요한데,
특정
발음을 쓰지 않으면 그 발음을 만드는 혀 기능도 차츰 떨어진다”고 말했다.잠자는 유전자 깨우면 혀 운동능력 살아나사용하는 언어와 지역, 유전적 요인이 혀의 운동능력을 결정짓는다고 좌절할 필요는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설계해, 빛을 적게 쏘면서도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카메라가
특정
시간 동안 제한된 횟수만큼 빛을 쏘고, 물체 가까이 설치한 집광판에 되돌아오는 빛을 빠르게 모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때 집광판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깊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에셔 박사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힐 박사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특정
높이의 소리에 집중할 때 발생하는 P300이라는 뇌파를 검출해 실험 대상이 현재 어느 소리에 집중하고 있는지 알아냈다. 지난해 필자의 연구팀도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리를 들려 줄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승팀 중 유니폼이 붉은 색인 팀이 많다는 것에 의문을 품었다. 그래서 실험 대상이
특정
한 색을 보게 하고 자체 제작한 악력 측정기로 힘을 측정했다. 혈기 왕성한 10대 청소년인 만큼 이 실험은 자연스럽게 힘 겨루기 대결이 됐다. 우리는 도전한다 아트 사이언스반 학생들은 처음 들어오면 우선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감마선폭발이 표준촛불로 쓰일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한 과제다. 표준촛불은
특정
한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 천체 현상으로,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일정하다(마치 촛불의 불꽃 세기처럼). 따라서 관측한 천체가 표준촛불이라면 그 천체가 있는 우주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중간·기말고사 만점을 목표로 해야 한다. 특히 중학생은 학교 공부를 무시하고 지나치게
특정
과목의 선행학습으로 경시대회에 매달리는 경우가 있다. 다행히 과학고에 들어가면 선행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고에 입학하면 그 과정을 자세히 다시 배우기 때문에 선행학습의 효용성이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때 개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먹이다. 먹이처럼 좋은 결과로 보상해 줘
특정
행동을 계속 하게 만드는 것을 ‘강화’라고 한다. 스키너는 가르치는 대상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좋아하는 자극을 주는 ‘강화’를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싫어하는 자극을 주는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도화선이 바로 행동모델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이해하고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갖가지 장치들은 이미 게임 디자인이라는 형태로 현실에 깊숙이 들어왔다. 게임이 지배하는 현실의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까.‘버리는(Disposable)’ 기술이 바꾸는 미래‘게임의 기술 ... ...
마야인도 담배 피웠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나오지 않았다.연구에 참여한 미국 렌슬리어공대의 드미트리 자고레프스키 박사는 “
특정
용도로 쓰였던 고대 토기는 드문 사례”라며 “이 연구는 마야의 문자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화학 분석법을 고고학에 응용한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밝혔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