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중간·기말고사 만점을 목표로 해야 한다. 특히 중학생은 학교 공부를 무시하고 지나치게
특정
과목의 선행학습으로 경시대회에 매달리는 경우가 있다. 다행히 과학고에 들어가면 선행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고에 입학하면 그 과정을 자세히 다시 배우기 때문에 선행학습의 효용성이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설계해, 빛을 적게 쏘면서도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카메라가
특정
시간 동안 제한된 횟수만큼 빛을 쏘고, 물체 가까이 설치한 집광판에 되돌아오는 빛을 빠르게 모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때 집광판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깊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에셔 박사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때 개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먹이다. 먹이처럼 좋은 결과로 보상해 줘
특정
행동을 계속 하게 만드는 것을 ‘강화’라고 한다. 스키너는 가르치는 대상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좋아하는 자극을 주는 ‘강화’를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싫어하는 자극을 주는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 번째 조건은 나노 필름의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특정
한 값을 가져야 한다. 연구팀은 실험에서 2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두께의 붕소 나노필름을 사용했다. 두 번째 조건은 열이 전도되는 방향이 필름의 방향과 평행해야 한다.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쌍의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세포에서 많이 나타나는 단백질을 항원으로 넣어준다. HER2/neu나 Muc1 단백질이 있는
특정
암 세포만 죽이기 때문에 부작용도 적다.그렇다면 암 백신과 항암제는 어떻게 다를까. 현재 항암제는 암세포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일반세포보다 빨리 증식하는 모든 세포를 죽인다. 암세포가 특이적으로 빨리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힐 박사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특정
높이의 소리에 집중할 때 발생하는 P300이라는 뇌파를 검출해 실험 대상이 현재 어느 소리에 집중하고 있는지 알아냈다. 지난해 필자의 연구팀도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리를 들려 줄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 교수팀이 그래핀에 수소원자를 붙여 표면의 성질을 바꾼 것이다.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불규칙한 배열을 보이다가도 그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화합물은 이 과정에서 형광빛을 내는데, 이 성질을 이용해 전자기기나 광기기의 반도체로 사용할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짧은 시간에 항생제 저항성을 갖게 되는 수단이 된다.코언 교수는 원형인 플라스미드를
특정
제한효소로 자른 뒤 여기에 양 끝이 잘린 자리와 상보적인 DNA 조각(원하는 유전자를 포함한)을 붙여 다시 원형으로 만들어주면, 즉 재조합하면 그 유전자를 포함한 플라스미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심리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학생들은 암실을 만들고 그 안에서
특정
한 색의 빛을 보는 장치를 만들고 피실험자에게 여러가지 색의 빛과 빛에 의해 색을 띠는 물체를 본 후 느낌을 말하게 해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했습니다. 이 학생들의 연구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인 측면슬상핵 표면을 자극하자 고양이는
특정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내기도 했다. 이 기술이 가능한 이유는 망막에 분포한 시신경들이 각각 대뇌의 시각피질에 있는 서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