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내 보이스톡을 끊었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몰랐는데 조금 있다가 알아채고 패킷을 차단하는 것이다.무료통화 보이스톡의 ‘정체’
특정
요금제 이상 가입자는 mVoIP를 쓸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mVoIP를 무제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음성 데이터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 패킷으로 압축하는데, 1분 길이 음성의 패킷 ... ...
똑똑한 사냥꾼 T세포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법은 희귀한 표적을 찾을 때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T세포도 여러 세포 중 감염된
특정
세포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T세포는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거나 B세포(항체를 분비해 항원 활성을 막는 세포)의 활성을 촉진한다. T세포의 똑똑한 사냥 덕분에 우리 ... ...
균 막으려다 알레르기 생기겠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존스홉킨스 아동센터가 6~18세 아동 및 청소년 860명의 건강 자료를 분석했더니 소변에
특정
항균성분이 많은 아이일수록 혈중 IgE항체가 많았다. IgE항체는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 많다.비누나 구강청정제, 치약에 많이 쓰이는 항균성분인 ‘트리클로산’이 소변에 가장 많이 검출된 아이들은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없다면 지도를 보고 거리를 계산하거나, 스코프 안의 눈금을 이용한다. 사람의 키가
특정
배율의 스코프 안에서 얼마나 길게 보이는지 알면 간단한 비례식을 통해 거리를 구할 수 있다.바람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계산하는 것“바람은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하는 것이다.”영화 ‘최종병기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어느 곳이 활성화됐는지 시각화할 수 있다.] 뇌의 기능을 알아내기 위해, 과거에는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됐을 때 그 사람의 감각이나 행동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뇌수술이 보편화된 뒤에는 수술 중에 뇌를 자극했을 때 환자가 어떤 반응을 하는 지 살폈다(뇌에는 감각 세포가 없어서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100배나 더 많이 쓰였다.이번 연구에서는 바둑돌의 움직임이 마치 자주 쓰이는 단어처럼
특정
한 규칙을 따른다는 게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바둑기사와 아마추어의 전략 차이를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연구를 지속하면 컴퓨터가 사람을 이길 날이 곧 다가올 것이다”고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범인을 현장 체포하기도 했다.지오프로스로도 범죄를 예측할 수 있다. 지오프로스에
특정
범죄에 대한 데이터 대신 기존에 일어났던 일반적인 범죄 데이터를 유형별로 입력하면, 앞으로 그 범죄가 일어날 확률이 높은 지역을 알려 준다. 아직 범죄가 일어나지 않은 지역이라도 범죄 위험 지역으로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은 뇌질환의 원인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신경외과에서도 뇌의
특정
부위를 잘라내는 대신 신경섬유 다발을 끊어주는 수술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 ...
세포호흡 저해제에 대해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화학삼투적 인산화 과정이라고 한다.독극물의 세포호흡 저해독극물은 물질대사의 어느
특정
단계를 저해함으로써 치명적인 상태를 일으킨다. 독극물들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❶ 전자전달계 저해제전자전달계 저해제로는 대표적으로 로테논과 시안화물 및 일산화탄소(CO)가 있다.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위해 연구팀은 캐시에게 로봇 팔의
특정
운동을 반복해서 상상하게 했다. 그리고
특정
운동을 상상할 때 발생하는 신경신호를 분류해 로봇 팔을 그대로 움직이게 하는 ‘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캐시는 5년에 걸친 훈련 끝에 마침내 생각의 힘으로 로봇 팔을 움직여 남의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