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지내다가, 밤에는 내실에서 잠을 자는 생활을 보냈지요. 그로부터 3개월이 지난 뒤 직지는 다시 철창이 있는 좁은 사육장으로 이사했습니다. 새끼 때보다 인기가 덜하기도 했지만, 맹수이기에 위험하다고 판단했거든요. 직지의 행동이 이상해진 건, 이때부터였습니다. ●동물원 수의사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돌았어요. 따라서 지니봇을 왼쪽으로 움직이려면 왼쪽 화살표를 눌러 방향을 바꾼 뒤 위쪽 화살표를 눌러 앞으로 전진시켜야 하지요. 독자 기자들은 어려운 사투를 벌였고, 결국 이도훈 독자 기자가 가장 많은 사탕을 차지해 승리했답니다 ... ...
- [특집] 생물막,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성장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각각의 개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광단백질을 삽입한 뒤, 현미경으로 3분에 한 번씩 16시간 동안 1만 개의 콜레라균이 자라나는 과정을 촬영했지요.콜레라균의 생물막은 관찰 후 5시간이 지나자 서서히 바깥으로 움직이며 커졌어요. 이때, 바닥과 가까운 균들은 바닥에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결과를 발표한 거예요. 연구팀은 죽은 고래상어의 눈을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촬영한 뒤 이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홍채* 주변에 약 3000개의 작은 이빨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걸 발견했답니다. 각각의 돌기 크기는 대략 0.4mm로 매우 작았죠. 연구팀은 돌기의 모양을 가리켜 ‘떡갈나무 잎을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말했답니다.먼저 김유미 선생님은 독자 기자들에게 햇반을 이용한 시범 요리를 보여준 뒤 직접 만들어보라는 미션을 주었어요. 독자 기자들은 아몬드 슬라이스를 입힌 쌀 핫도그와 햇반 인절미를 차례대로 만들었지요. 이번 체험에 참여한 경지우 독자 기자는 “햇반이 핫도그와 인절미로 변신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결정을 뒤틀리게 하는 힘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했어요. 이어 법랑질을 이루는 결정들의 뒤틀림이 치아를 더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치아 법랑질 손상을 막고 복원하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세포가 보일 정도지요. 이런 현미경의 원리는 양파 조각에 가시광선*을 쏘아 충돌시킨 뒤 반사되어 되돌아 나오는 가시광선을 측정하는 거예요.20세기 초 금박을 이용해 핵을 최초로 발견했던 영국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도 비슷한 원리를 이용했어요. 가시광선 대신 헬륨의 원자핵인 ... ...
- 올여름은 화성 탐사 성수기?! ‘퍼시비어런스’와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퍼시비어런스 넌 누구냐! NASA는 2011년 탐사로버 큐리오시티를 화성으로 보낸 뒤 9년 만에 새로운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를 보낸다. 이번에 새로 장착된 셜록과 왓슨, 목시, 림팩스 등으로 퍼시비어런스는 무엇을 알아낼 계획일까? 도움★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꼬아놓은 모습의 작품이에요. 15m 매듭을 여러 마디로 나눠 그 안에 빛나는 셀을 배치한 뒤 양 끝을 이어 붙였어요. 셀은 동력 장치와 연결돼 압력에 의해 형태가 바뀌고 그에 따라 빛을 냈지요. 매듭 이론*’에 매료된 김 작가는 수학 원리를 바탕으로 두세 달간 크로마의 구조를 만들었어요. 이때 ... ...
- 화성님, ‘돌’ 좀 주워갈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라만 분광기’로 암석에 자외선을 쏘아요. 그러면 자외선이 암석 시료를 통과한 뒤 일부의 파장이 변하는 ‘라만 효과’가 일어나지요. 라만 분광기는 암석을 통과한 자외선의 파장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파악해 화성 암석에 어떤 유기물들이 있는지 알아내요.셜록과 왓슨으로 퍼시비어런스는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