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칼망은 남편은 물론, 딸과 손자보다도 훨씬 오래 살았어요. 친한 사람들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홀로 남아 긴 인생을 사는 건 어떤 느낌이었을까요? A 구름은 수많은 작은 크기의 물방울과 얼음 조각이 모여서 만들어져요. 만약 햇빛이 구름의 물방울과 만나면 빛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 ...
- [과학뉴스] 스페이스X, 첫 유인 우주선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번에 참여한 두 우주 비행사는 기존 ISS 우주인들을 도와 1~4개월간 임무를 수행한 뒤 크루 드래건을 타고 지구로 되돌아 올 예정이지요. 그 후, 크루 드래건은 ISS 유인 운송 수단으로 인증받게 된답니다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눈을 제외해야 한다며 2005년 GPS와 위성 등 다양한 장치로 에베레스트산 높이를 측정한 뒤 8844m라고 주장했지요. 반면, 네팔은 눈도 높이에 포함해 8848m가 맞다고 반박했답니다.학자들 사이에서도 에베레스트산 높이에 대한 의견은 분분해요. 일부에선 2015년 히말라야에서 발생한 규모 8.1의 강한 지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돌리고~돌리고, DIY 원심분리기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번 연구로 오지의 의료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했답니다.➊ 컵을 뒤집어 탁구공을 덮는다. ➋ 컵을 책상 위에서 빠르게 돌리면 탁구공이 컵의 벽을 따라 함께 회전할 것이다. ➌ 그대로 컵을 돌리며 위로 들어 올려 본다. ☞ 결과 : 공이 컵을 따라 돌면서 컵과 함께 위로 올라온다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여겨졌습니다. 수소를 1억℃가 넘는 고온에서 핵과 전자가 분리된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 뒤 핵끼리 강제로 결합시켜야 하는데, 인간의 힘으로는 물론 웬만한 기계로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여름 세계 최대 핵융합 실험로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가 본격적인 ...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1월 18일자에 발표했다. 3D 바이오프린팅은 ‘바이오 잉크’로 3차원 골격 구조를 만든 뒤, 산소와 영양분 등 세포 생존에 필요한 물질을 운반할 수 있는 혈관 구조를 더해 인공조직을 재현한다. 바이오 잉크는 살아 있는 세포와 성장인자 등 생체에서 얻은 물질에 하이드로겔을 섞은 재료다.3차원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람이 대화를 할 때 발생하는 만큼의 에어로졸(초속 약 4m)을 만들어낸 뒤, 칸막이가 이 에어로졸의 흐름을 어떻게 차단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칸막이의 높이가 60cm일 때는 에어로졸의 95.5%를, 높이가 70cm 이상일 때는 에어로졸의 98.8%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물론 수능 시험장에서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때 이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은 주제어실에서 이뤄집니다.” 약 10분 뒤 KSTAR의 플라스마를 다시 가동할 시점이 되자 김 부장은 기자를 주제어실로 이끌었다. 주제어실에는 20명 정도 되는 연구원이 모여 플라스마 운전 실험에 열중하고 있었다. 전방 벽면을 가득 채운 모니터에는 알 수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원은 201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말이 달리는 GIF를 대장균의 유전물질인 DNA에 저장한 뒤, 컴퓨터로 불러와 재생하는 데 성공했어요. 움직이는 이미지를 DNA에 저장한 건 최초였지요.연구팀은 컴퓨터가 디지털 사진을 ‘0’과 ‘1’로 이뤄진 숫자로 바꿔 저장하는 성질을 응용했어요. ‘0’과 ‘1’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봉쇄돼 외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탓이죠. 두 번의 코로나 검사와 자가격리 기간을 가진 뒤 본격 출발할 예정이에요. 연구원 인원도 25명으로 절반가량 줄었어요. 올해 해빙 탐사는 못하고 해양 연구만 하게 될 거고요. 그래도 항해가 취소되지 않아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지난해 북극 바다에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