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공학자의 태도로 끝내 완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어요.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쏘아 차량 등에 부딪혀 반사된 뒤 돌아오는 전자기파로 장애물의 존재를 알아내는 기술이에요. 라이더는 레이더와 원리는 비슷하지만 파장*이 짧고 하나의 파장으로만 이뤄진 레이저를 사용해요. 파장이 짧으면 물체의 작은 굴곡도 인식할 수 있어 ... ...
- [진흙] 생물이 바글바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연구팀은 이 시료에 미생물이 사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실험을 시작한 뒤 557일 후 시료에서 나온 침전물을 분석한 결과, 휴면 상태의 미생물이 발견됐어요. 연구팀은 이 미생물에게 산소와 유기물질을 주입했더니 68일 만에 움직임이 나타났고 증식하기 시작했지요. 약 1억 년 전 중생대 ... ...
-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포니 두 마리가 물리적인 접촉은 피하면서 서로 얼굴과 체취를 익히게 했어요. 얼마 뒤 막았던 중간 문을 열자 하니와 향미와 동백이는 서로의 공간을 들락거리며 함께 지내게 되었어요. 서로에게 큰 관심은 없어 보였지만, 하니는 사육사가 없는 밤에도 향미와 동백이가 있어 안정감을 느끼는 것 ... ...
- [과학뉴스] 날개만 있는 비행기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기다란 동체에 날개가 좌우로 달린 일반 항공기와 달리, 동체 없이 날개 두 개가 뒤로 젖혀진 ‘V’ 모양을 하고 있어요. 객실과 화물칸, 연료 탱크가 모두 날개에 있는 거예요. 플라잉V가 이런 모양을 하게 된 이유는 화석 연료를 적게 쓰기 위해서예요.비행기는 이산화탄소(CO2)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논란에 휩싸였지요. 정부와 의사가 맞붙었기 때문인데, 두 집단은 코로나19가 안정화된 뒤 주요 쟁점들을 다시 논의하기로 합의했어요. 이들에게 무슨 일이 있던 걸까요? 논란1 의대생 정원을 늘리겠다? 지난 7월 23일, 보건복지부는 2022년부터 10년간 의대 정원을 3058명에서 3458명으로 늘리겠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달의 모양은 점차 초승달, 상현달이 돼요. 그리고 마침내 달이 태양을 마주한 지구의 뒤에 위치하는 순간, 온전히 밝게 빛나는 보름달을 볼 수 있어요.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놓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햇빛을 받는 달의 반쪽이 온전히 보이는 거죠. 이때를 ‘망’이라고 해요. 커다랗고 둥근 보름달이 ... ...
- [보존과학] 으앗, 비상! 작품에 대참사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한 성당 기둥에 그려진 100년 된 예수님의 벽화 복원이 비전문가 신도에게 맡겨진 뒤 벽화 속 얼굴이 원숭이 형상으로 망가진 사건도 유명해요. 그런데 이런 기막힌 소문을 듣고 오히려 사람들이 몰려 이곳은 인기 있는 관광지가 됐답니다. ●인터뷰 “복원을 위해선 기술과 미술사를 모두 ... ...
- [보존과학] 영상에 새 생명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한다”고 말했어요. 만약 어떤 필름에 먼지 자국이 남아 있다면, 문제가 있는 장면 앞, 뒤 프레임에서 문제 없는 부분의 픽셀을 복사해서 덮어줘요. 이후 주변과 색깔, 위치를 미세하게 맞추는 작업을 하면 감쪽같이 먼지가 사라진답니다. ● 인터뷰 "고전 영화가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덜덜덜...진동의 위력을 눈으로 느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964년에 일본 니카타에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아파트가 그대로 뒤로 드러누워 버리기도 했죠. 이에 올해 3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액상화 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도를 개발했어요. 땅속 지층의 구조, 지하수의 상태, 토양의 성분 등을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지진이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함께 무당개구리를 채집하고, 수질검사기를 통해서 환경오염 정도(TDS, EC)를 측정한 뒤, 기형으로 보이는 무당개구리를 찾아보았답니다. 첫 탐사에서 총 20마리의 무당개구리를 채집했고, 두 마리의 무당개구리에서 기형을 발견했습니다. 앞발의 발가락이 서로 붙어있지요. 실제로 이곳의 수질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