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를 위해 파스퇴르가 생각해낸 실험은 매우 간단했다.그는 설탕을 넣은 효모액을 여러
유리
플라스크에 담고 그 중 몇 개는 플라스크의 목을 가열해 지름 1~2mm 정도로 백조의 목처럼 S자 모양의 길고 가는 곡선으로 늘렸다. 그리고 백조목 플라스크 속의 효모액을 몇 분간 끓여 멸균시킨 뒤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스프레이 페인트로 벽을 칠해보자!’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들어있는 캔을 들고
유리
판 위에서 흔들면 빔 프로젝터가 그림을 그린다. 낙서를 하는 동안에는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동작을 감지해 디지털 음원을 만든다. 캔을 좌우로 움직이면 센서가 리듬을 감지해 힙합 비트 박스를 소리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제어하는 일 1916년 미국의 코닝사에서 만든 내열충격성, 화학적 내구성을 지닌 붕규산
유리
에 붙여진 상품명고주파 전력에 의한 가열효과를 이용하여 비닐과 같은 비금속 물질을 가공하는 방식분자량이 대단히 큰(1만 이상) 화합물 단백질 녹말 섬유소(셀룰로오스) 고무 등 천연 고분자화합물 외에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는 콘택트렌즈의 원리를 살펴본다.콘택트렌즈 이렇게 만든다초기 콘택트렌즈는
유리
로 만들었으나 파손되기 쉬워 위험했다. 널리 실용화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과 ㅎ마께 플라스틱공업이 발전하면서다. 그뒤 친수성 폴리머 같은 신소재가 나왔고 현재는 안전한 실리콘 고무 등을 재료로 사용하고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미리미리 챙겼어야지. 나한테 휘발유가 있는데 조금 나눠 줄까? 여기 휘발유가 담겨 있는
유리
병이 있지. 마음껏 가져가 쓰라고. 하지만 조건이 있어. 이 병의 마개를 잡아 빼거나 깨뜨리지 말고 휘발유를 가져갈 것! 음하하하!”휘발유는 커다란 병에 담겨 있었다. 그 정도의 양이면 남은 사막 횡단에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자석에 붙고
유리
는 자석에 밀린다는 사실, 모르셨죠?”전남대 박종원(45) 교수는 이렇게 물으며 자석을 꺼냈다. 동그랗게 만 종이에 자석을 갖다 대니 종이 끝이 회전하며 달라붙는다. ‘아니, 이럴 수가’ 눈을 의심하던 기자에게 그가 설명했다.“모든 물질은 내부에 전자가 있습니다. 따라서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떠다닌다. 그러나 영화 속에서 사람들은 우주선 안에서 땅 위와 똑같이 행동한다. 우주선
유리
창이 깨지자 사람들이 빨려나가는 것을 보면 우주 공간인 것은 분명하다. 소형 우주선이 모선으로 들어올 때 아무런 완충장치가 없는 것도 이상하다. 우주선 안 격납고는 우주공간과 벽 없이 그대로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은은 옛부터 잘 알려져 있는데
유리
금속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화합물에 아연이 든 것 보통 산화수 2인 화합물을 만들고 일반적으로 무색 남북 양반구의 20˚~40˚ 정도의 위도대에 거의 정상적(正常的)으로 있는 고기압 성인(成因)으로는 적도지대에서 ... ...
스파이더맨은
유리
벽을 탈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진 ‘리저드맨’이 있다면 그는
유리
벽도 탈 수 있을 거예요. 도마뱀의 발바닥은
유리
벽에 붙을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가진 미세한 털들이 달려 있거든요. 그 발바닥 덕분에 도마뱀은 현존하는 지상 최고의 벽타기 명수랍니다 ... ...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위해 100만분의 1초까지 찍을 수 있는 X선 고속촬영기도 설치된다. 고속촬영기는 방호
유리
뒤에 45。 각도로 설치한 반사경을 통해 핵폭발 직후의 아주 짧은 순간을 찍고 바로 파괴된다. 폭발 영상은 수백~수천m 떨어진 무인관측소를 거쳐 지진계, 방사선 측정기 등 다른 계측 장비가 보내온 정보와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