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빛(가시광선)에 익숙하다. 인류가 햇빛을 더 많이 볼수록 포식자를 피해 생존하는 데
유리
했기 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멋진 우주 사진도 대부분 가시광선 작품이다. 하지만 드넓은 우주에서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영화를 보면 투명인간을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얼음, 페트병 뚜껑을 넣어보면 어떻게 될까? 옆의 사진과 같이 물보다 밀도가 큰 자석,
유리
구슬은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기름보다 밀도가 작은 페트병 뚜껑은 기름 위에 뜨게 된다구. 그럼 물과 기름 사이에 떠 있는 얼음은 과연 왜 그렇게 된 걸까? 바로 얼음은 물보다는 밀도가 작고 기름보다는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얻는다모갠엘슨반응으로 검출된다분자식 C6H12O6 알도헥소오스의 일종 D-갈락토오스는
유리
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드물고 2당류(락토오스 등) · 3당류(라피노오스 등) · 4당류(스타키오스 등) · 다당류(갈락탄 등) · 글리코시드 · 당지질(세레브로시드, 갈락토지질) · 당단백질 등의 성분으로 존재하며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술적으로 우수하다면 이를 바탕으로 형광등 시장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편이 더
유리
했던 것이다. GE는 고효율 형광등이 밝기를 유지하자면 당시 기술로서는 형광등의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고효율 형광등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 수명 문제가 해결돼야 했다. GE는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
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기준으로 환산한 무게 탄소의 원자량은 12고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므로 이산화탄소의 원자량은 44(12+16×2)다 따라서 1t의 이산화탄소는 1×12/44≒028TC가 된다공기 등과 같은 기체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방법 화학적으로 특수하게 조성된
유리
로 제품을 만들어 800℃까지 가열함으로써
유리
내부에 한결같이 미세한 결정을 석출(析出)시킨 것 분자 안의 각 결합에 각기 고유한 전기2중극자모멘트를 정해 분자 전체의 2중극자모멘트가 근사적으로 그 벡터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한 것 분자궤도함수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주에서 오는 빛을 흡수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수증기가 적어 천체 관측에
유리
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밤에는 은하수가 장관이다. 마우나케아는 1년 365일 중 최대 270일 가량의 날씨가 맑다. 대형 서치라이트 옆에서 반딧불 찾기송 박사는 세계적인 ‘외계행성 사냥꾼’이다. 지난해 ... ...
안 싸우면 못 사는 나라, 싸울랜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보면 파란
유리
구두 8켤레가 나온다. 결국 파란
유리
구두 두 개에 해당하는 빨간색
유리
구두가 없어진 것이다.싸울랜드는 싫어~!문제를 모두 해결한 썰렁 홈즈. 드디어 총각 신세를 벗어나 결혼을 하게 되는 것인가? 그것도 공주를 신부로? 그런데 이게 웬일? 문제를 해결한 썰렁 홈즈는 그냥 집으로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기술이 발전하면 지구와 질량이 비슷한 행성도 발견할 수 있어 외계 생명체 연구에
유리
하다. 현재까지 인류가 찾은 행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하기 어렵다. 모두가 목성, 토성과 같이 가스로 구성돼 흔히 ‘목성급 행성’으로 불리는 커다란 행성이기 때문이다. 펄서 행성은 질량이 지구와 비슷하지만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뇌뿐 아니다. 그는 눈을 ‘밖에서 보이는 뇌’라고 말한다.“눈 안에 들어온 빛은
유리
체란 액체를 통과해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합니다. 그 중간에 방해물이 없어야 상이 제대로 맺히죠. 당뇨병 환자는 빛이 지나는 곳에 혈관이 마구 자라는 합병증이 나타나요. 심하면 실명할 수도 있죠. 이런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