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훌륭한 작품이 된다.그런데 그가 만드는 것은 술이 아닌 고분자 나노 복합소재다. 그는
유리
잔에 얼음을 넣는 대신 얼음을 얼려 광자 결정을 만든다. 박 교수가 ‘수석 바텐더’로 있는 고분자나노소재연구실에서는 매일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소재에 다른 여러 소재를 ‘블렌딩’해서 여태껏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가공 · 제조하는 공업 이 공업의 중심은 바이트 · 다이스 · 비트 · 톱 ·
유리
칼 등의 다이아몬드 공구를 생산하는 부문이다오늘날 정밀공업 · 전자공업 등과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얼음의 미세한 결정이 공중에 무수히 부유하는 현상 본체는 바늘 · 각기둥 · 평판 등의 모양을 한 미세한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유리
관을 찔러 넣어 핵을 제거한다. 이 방법을 사람 난자에 적용하면 난자가 터지거나
유리
관에 달라붙어 실패할 확률이 높다. 황 교수팀 박을순 연구원은 난자에 압력을 가해 포도알 짜내듯 핵을 제거하는 스퀴징 기법을 창안했다. 박 연구원은 섀튼 교수 연구실에 파견돼 원숭이를 복제하는데 크게 ... ...
열은 어떻게 이동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은이 반사시킨 열은 보온병 내부로 되돌아간다.▶보온병의 입구를 막은 마개는
유리
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낮은 고무로 만든다. 이는 외부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도 줄여 준다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윤활제를 만들 수 없다. 만약 압력을 받을 때 얼음처럼 스스로 윤활제를 만들어 내는
유리
를 만들 수 있다면 가능할 것이다. *나무 스키가 금속 스키보다 더 뛰어나다?옛날에나 썼을법한 나무 스키가 성능이 더 뛰어나다니 거짓말 같지만 사실이다. 그것은 바로‘열전도율’때문. 1898년 북극을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강하게 결합하도록 도와 줍니다.시금치는 녹색이라고?!★실험재료시금치, 비커, 아세톤,
유리
막대, 막자와 막자사발, 거름종이★실험과정시금치를 막자사발에 넣고 아세톤 네 스푼을 첨가하여 잘 갈아요. 시금치가 물처럼 걸쭉하게 변하면 비커에 붓고, 세로로 길게 자른 거름종이를 담가 1시간 정도 ... ...
무인도 탈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안녕! 난 아리스야. 현실세계와 사이버세계를 오가며 수학을 제거하려는 악당들의 음모에 맞서 싸우고 있지. 그런데 어느 날이었어. 분명 그 ... 신호 보내기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을 피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 거울이나
유리
를 이용해서 빛을 반사시키면 멀리서도 눈에 잘 띈다 ... ...
'식물원에 대한 편견 깨뜨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온 후 한택식물원을 만들었고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식물원은 흔히 생각하는
유리
온실이 아닙니다. 그리고 산책만 하는 수목원도 아니지요. 식물원은 많은 식물을 보유하고 연구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식물의 역할과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우게 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해도 엄청나게 무거워 보이는 빙산은 어떻게 바닷물에 떠 있을까? 겨울철 물이 담긴
유리
병을 밖에 두면 깨져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물이 얼면서 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작아서 빙산은 바닷물에 뜨는 것이다. 또한 빙산의 89%는 물에 잠기고 단지 11%만이 떠올라 우리 ... ...
한 여름에 눈 내리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주변의 열을 빼앗기 때문이다. 금속재질의 숟가락을 사용하는 이유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 나무와 같은 재질보다 금속이 열전도가 더 잘되어 물이 쉽게 얼기 때문이다.눈의 결정체는 왜 항상 육각형일까?그 이유는 바로 눈의 성분이 물이기 때문이죠. 물은 화학식으로 H₂O라고 쓰는데요. 한 개의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