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컴퓨터로만 하는 디지털 교육 중 어느 한 쪽이 더 좋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래서 실제 블록과 디지털 기기를 잇는 인터페이스(사물과 사람 사이에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만든 매개체) 인 모블로가 태어났다.책상 위에 쌓은 블록이 컴퓨터 화면 속에?모블로는 블록판과 다양한 기능을 하는 블록,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파리, 나비, 딱정벌레, 잠자리, 거미, 심지어 생선까지 가리지 않고 다 먹는 잡식성이다. 실제 등검은말벌을 보기 위해 지난 9월 3일 방문한 경북대 캠퍼스에서만 벌집 5개가 발견됐다.최문보 경북대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연구교수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2010년 부산 도심에 살고 있는 말벌 중 95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칼만 필터를 적용해 선수들의 형태를 쫓아간다. 칼만 필터는 예측값과 측정값을 조합해 실제값에 가까이 다가가는 알고리즘이다. 선수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0.1초 뒤 위치를 예측하고, 그 예측된 범위 안에서 선수를 찾아 측정된 위치를 계산에 다시 반영하는 식이다. 칼만 필터로도 놓친 선수는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럽의 배출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6’에 맞춰 ‘클린 디젤’을 만들겠다는 것. 실제로 지난해 9월 이후에 출시된 디젤차 신모델은 모두 유로6 기준에 맞췄다. 올해 9월 1일부터는 유로6 기준이 모든 디젤차에 적용됐기 때문에 기존 유로5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 차량들도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추가로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몸속에 저장하기 때문에 독성이 강해지고 공격성이 높아진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다. 영양분을 많이 얻기 위해서는 그만큼 먹잇감을 많이 사냥해야 하고, 사냥을 많이 한 살모사는 독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남은 독은 평소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하지만 독의 양이 적다고 해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동안의 혈관 세포는 배양접시와 같은 2차원 유리판 위에서 만들어졌다. 그렇다보니 실제 혈관과 모양과 기능이 완전히 달랐다. 세포가 자라는 환경에 따라 표현되는 유전형이나 세포의 움직임이 완전히 달랐던 것이다. 전 교수는 “체내 물질 대사는 대부분 농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데, 혈관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가느다란 모양의 인공거미줄을 만들었다. 샤이벨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거미줄은 실제 거미줄과 마찬가지로 같은 무게인 강철보다 강도가 20배 더 뛰어나다”며, “자동차 에어백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마이크로 단위까지 더 자세하게!다음은 평소에 느끼는 사소한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교수는 이 모형으로 에콰도르, 콜롬비아 등 남아메리카에 자라는 잎으로 기후를 실제와 비슷하게 맞혔다.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광물암석학과의 랄프 태퍼트 교수는 지난 2013년 호박 광물에서 약 2억 2000만 년 전 식물화석을 찾았다. 이때는 지구 대륙이 하나의 큰 덩어리인 ‘판게아’로 돼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자를 사용해 축척을 나타낸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때 1:50,000은 지도상에서 1cm의 거리가 실제로 50,000cm를 나타낸다는 뜻이에요. 아래와 같이 막대자를 이용해 표기하기도 합니다.이제 같은 지역을 서로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여러 지도를 살펴봅시다. 축척에 따라 어떤 지도는 매우 자세하게 볼 수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데이터가 더 필요해!미국 메이저리그는 피타고리안 승률이 실제 승률과 거의 비슷하다는 평가도 있다. 야구통계를 다루는 학회 SABR★가 있을 정도로 미국 야구에서는 수학과 통계학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경기 전략에 활발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에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