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예를 들어 컴퓨터에 자동차 이미지를 넣으면 자동으로 종이접기 도면이 디자인 되고,
실제
로 그 자동차와 똑같이 접혀서 만들어지는 거예요. 이 기술이 발전하면 스스로 접혀서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로봇도 만들 수 있답니다. 친구들도 저처럼 재미있고 신나는 일을 계속 찾아서 해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만드는 데 성공해 유명 과학학술지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소금쟁이로봇은
실제
소금쟁이처럼 가늘고 긴 다리에 얇고 긴 몸체를 갖고 있어요. 로봇의 몸 전체를 하나의 평면 판에 만든 뒤, 잘라 접어 몸을 작고 얇게 만들 수 있었지요. 게다가 다리 끝에는 물과 친하지 않은 소수성 물질이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
실제
로도 이미 곤충은 세계 곳곳에서 식량으로 이용되고 있어요. 약 20억 명 정도가 1900종의 곤충을 먹으며 살고 있죠. 그 중에서도 딱정벌레 종류가 전체 식용곤충의 31%를 차지해 가장 많이 먹는 곤충으로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말일까요?이 사람이 먹은 햄버거 패티는 바로 ‘배양고기’로 만들어졌어요. 배양고기는
실제
가축에서 얻은 고기가 아니라 실험실에서 키운 고기를 뜻해요. 네덜란드 마흐트리히트 대학교 마크 포스트 교수가 처음으로 자신이 개발한 배양고기를 세상에 공개했죠. 소의 근육조직을 떼어내 근육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하지만 지금까지 그 어떤 탐사선도 카이퍼 벨트를 직접 탐사하지 못했어요.
실제
카이퍼 벨트에는 수십만 개의 천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이런 천체들과 충돌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해왕성 탐사에 성공한 보이저 2호도 카이퍼 벨트 방향이 아닌 다른 쪽으로 비행 경로를 바꿨지요.과학자들이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이용하면 우주에서 직접 드론을 만들 수도 있을 거예요.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에는
실제
로 3D 프린터가 설치돼 있어요. 물론 지금 있는 3D 프린터는 플라스틱 재료로만 물건을 만들 수 있어요. 하지만 금속을 출력하는 3D 프린터와 같은 기술이 지금보다 더욱 발전한다면 우주에서도 드론을 척척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복숭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거야.내 손으로 포도를 따자!
실제
포도 재배 농장을 방문해 포도를 직접 수확해 볼 수도 있어. 여기서 잠깐! 맛있는 포도 따기 비법을 전수할게! 포도알들이 퍼져 있지 않고 뭉쳐지듯 모여 있는 게 맛있는 포도래. 또 맛있는 포도에는 포도알에 ... ...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건 뇌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날아오는 커브볼을 정확하게 치기 어려워한답니다. 공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 위치와
실제
공의 위치가 다른 ‘커브볼 착시’가 일어나기 때문이에요.그런데 울산과학기술대(UNIST) 권오상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이 커브볼 착시가 우리의 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우리가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혼자서는 살 수 없기 때문에 숙주 몸속에서 오랫동안 함께 살기를 원하거든요.
실제
로 강력했던 신종 바이러스도 시간이 지나면 점점 힘이 약해지며 숙주와 함께 사는 ‘공생’을 선택해요. 한 예로, 1780년대 홍역이 덴마크령의 파로섬에 유행했을 때는 많은 사람이 죽었어요. 하지만 유행이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작곡한 것 같다는 평가가 훨씬 많았다. 또 바흐의 곡을 분석해 만든 쿨리타의 곡은
실제
바흐의 곡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음악적 완성도가 높았다.장재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알고리즘작곡은 가까운 미래에 상당히 보편화될 것”이라며, “DSLR 카메라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프로급의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