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기관지 세포 파고드는 오미크론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9)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기관지 세포를 관찰한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물질의
표면
정보를 관찰하는 측정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활용한 것으로 파란색 점 같은 것들이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다. 인간 세포 사이사이 촘촘히 박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네이처는 이번주 기존 바이러스보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강화학습 이용한 자유구조 메타
표면
설계 제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소자다. 연구팀은 구조의 구성요소를 하나씩 뒤집는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해 메타
표면
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도 최적 구조를 발견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포토닉스’ 2월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문승현 전 총장(지구환경공학부 ... ...
국내 원전 수소폭발 방지장치 검증 실험서 화염...후속실험서 반복되면 안전성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수소 주입이 점점 진행되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입자가 다수 관찰됐다”며 “촉매체
표면
백금 입자로 보이고 실험이 끝난 후 내벽 용기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한 일부 결과에서도 백금이 일부 확인됐다”고 말했다. 24일 진행된 2차 실험에서도 이같은 현상이 관측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빠르게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2
분자 진단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기술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메타물질
표면
에 바이오 시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실험한 결과 수 분 만에 시료의 특성과 양을 알아냈다. 또 아미노산 단위 변화를 감지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변이 바이러스를 특정하는 데도 성공했다. 서민아 ... ...
소행성 탐사부터 중력파 관측 위성까지 중국의 우주굴기
연합뉴스
l
2022.02.22
약 50m에 불과해 500m가 넘었던 앞선 소행성 탐사 때와는 차이가 있다. 카모 오알레와는
표면
에서 반사되는 태양 빛을 분석한 결과, 월석과 일치해 달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국 탐사선을 통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 유인 달 연구 기지 건설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 달 기지 ... ...
모든 혈액형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항원과 비슷하다. 연구팀이 이 효소를 A형 혈액형 기증자의 이식용 폐에 주입하자 폐
표면
의 A항원이 4시간 안에 97% 제거됐다. 폐 혈액형이 A형에서 O형으로 바뀐 것이다. 이후 폐 이식 수술을 가정해 O형 혈액형을 폐에 주입했다. 그 결과 효소 처리된 폐는 O형 혈액형에서도 거부 반응 없이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장 작은 일반상대성 이론 시험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1)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에서 광학 격자 시계의 정확도는 시계를 지
표면
에서 1mm보다 작은 차이에서 발생하는 중력 변화에 따른 시간 변화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다.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양자 결맞음이 최장 기록인 37초를 기록했고 90시간 동안 이전의 어떤 원자시계보다 우수한 ... ...
입 안 헹구면 끝…코로나 검체 채취 가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사람코로나바이러스(HCoV-229E)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에 효과적으로 결합해 피부
표면
에 강하게 붙어있는 바이러스까지 잘 떼어낸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점을 이용해 입 안의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하는 가글을 개발하고 관련 상품 '빈 가드 가글'을 출시, 시판에 들어갔다. 가글 형태이기 ... ...
라오스서 코로나19 친척뻘 바이러스 3종 발견…"자연 기원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특히 안지오텐신 분해효소2(ACE2) 관련 부분이 유전적으로 유사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
을 덮고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간 세포에 붙는다. ACE2는 인간세포에 달린 수용체로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한다. 박쥐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3종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ACE2에 더 ... ...
오미크론 변이 전용 백신 동물 실험서 ‘기대 이하’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증식을 마친 오미크론 바이러스 입자들(주황색)이 세포
표면
으로 이동하는 장면이다. 오미크론은 다른 변이에 비해 폐 안쪽 깊숙이까지는 잘 침투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콩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를 표적으로 한 백신이 초기 동물실험 결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