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느낌
감정
생각
분위기
상태
컨디션
스페셜
"
기분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가 수록돼 있다. 영어공부에 지쳤을 때 이 노래를 들으면
기분
전환이 될 것이다. - Verve 제공 법적으로는 채소 사설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게놈편집기술을 이용해 야생 토마토와 식용꽈리를 작물화한 연구결과를 보고한 논문 세 편을 소개하고 있다. 꽈리는 몰라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하지만 ‘감정’에 대한 기억은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Loewenstein & Small, 2007). 대략 그 때
기분
이 나빴다거나 좋았다는 정도이지 당시의 수많은 감정과 고통을 생생하게 다시 체험하게 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아무리 힘들었던 일이라도 시간이 지나 감정이 옅어지면 실제로 힘들었던 것보다 ‘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영상 속에서는 다들 하하호호 웃으며 참 쉽죠? 라고 하는 느낌이었는데 조금 속은
기분
이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이미 높은 숙련도를 가지고 있어 어떤 동작이든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사람과 나 사이에는 아무런 접점이 없다. 그 사람이 편안하게 할 수 있다고 해서 그 일 자체가 쉬운 일인 것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뜻이기 때문이다. 숲을 슬쩍 들여다본 뒤 그때까지 나무만 봐왔다는 걸 깨달았을 때
기분
이라고 해야 할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2018.07.28
압박을 받으면 생명체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생명 유지 활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
기분
이 좋아질 수 있는 걸까? 얼마나 압박이 심하면 멀쩡한 몸을 도려내고 싶을 정도로 날씬한 몸매를 원하게 되는 걸까? 안타깝게도 이런 사례들은 상당히 흔하고, 자신의 몸을 있는 그대로 사랑해본 여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실제 열악한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나 도축장면을 보여주면 웬만한 사람들은 고기를 먹을
기분
이 싹 달아난다고 한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차츰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지만. 따라서 지속적으로 동물복지를 부각하고 이를 관념이 아닌 구체적인 사례로 보여줘야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2018.06.23
보이지 않아도 뜨개질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치 다시 태어난 듯한
기분
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아주 작은 것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든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다. 여러분에게 작게나마 즐거움을 주는 소일거리는 무엇인가? 새로 배우고 싶은 것에는 무엇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또한 그렇지 않을까? 스스로가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할 때는 순간
기분
이 좋지만 한편으론 그 기준에 계속 부합해야 한다는 부담을 스스로에게 지우는 것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옳고 그름, 잘하고 못함 같은 ‘평가’와 상관 없는 이야기들, 사랑하는 사람이 잘 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
2018.04.28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고도 언급했다. 이런 사고가 신분상승 욕구와 맞물려
기분
을 좋게 해주는 믿음이 된다는 것이다. 사진 GIB 제공 또한 불평등을 지각하는 것 자체로 큰 스트레스가 된다. 일례로 아직 우리 사회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으니 그것들이 꼭 바뀌어야한다고 생각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2018.04.21
자신의 성과가 좋다거나 나쁘다고 평가해버릇할수록 그 과정에서 괜히 남들과 비교하며
기분
이 나빠지기도 하고 너가 이래서 안 되는 거라며 스스로에게 모진 말을 던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긍정적 정서 상태’가 목적인 행복의 경우는 자신이 행복한지 평가하는 과정 자체가 목표를 망치는 셈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