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자"(으)로 총 9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 행동의 진화] 사주명리학의 운명2020.11.15
- 비하면 아주 미미한 영향을 미칠 것 같지만, 분명 확실한 차이가 있다. 몇몇 예를 들어보자. 여름에 태어난 사람은 근시가 많다. 3~4월에 태어난 아기는 천식을 많이 앓는다. 겨울에 태어나면 폐암을 적게 앓는다. 9월에 태어나면 대장·직장암이 더 흔하다. 6월에 태어나면, 12월에 태어난 사람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2020.11.10
- 밀농사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개인주의 성향을 알아보는 인물 관계도 테스트를 보자. 나를 포함해 친구 몇 명의 관계를 그려보라고 하면 개인주의가 만연한 미국인들은 자신을 나타내는 동그라미를 6㎜ 정도 더 크게 그린다. 유럽인들도 3.5㎜ 정도 자신을 더 크게 그린다. 반면 집단주의가 ...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2020.11.08
- 분명 아주 작은 요인이다. 지금 당장 세계 여러 나라의 최고 권력자 사진을 검색해보자. 외모는 뭐 그저 그렇다. 장동건처럼 생긴 대통령은 영화에서나 볼 수 있다. 얼굴을 통해 미래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미래 예언은 그렇다 치고 과거는 알 수 있지 않을까? 얼굴 살이 복스럽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2020.11.07
- 통나무를 평평한 표면 위에 던졌을 때 평형 상태를 구하는 정역학 문제를 예로 들어 보자. 이 문제에는 통나무가 누워 있는 경우처럼 많은 해가 있을 수 있지만,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수직 축에 대해 회전 대칭성이 있는 경우만을 고려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오직 원통의 중심축이 수직 축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속내를 금방 들키는 사람2020.11.07
- 부끄러워할 줄 알고 속이는 것이 많기보다 투명한 것이 신뢰의 근간이라는 점 기억해보자. ※참고자료 Leary, M. R., Britt, T. W., Cutlip, W. D., & Templeton, J. L. (1992). Social blushing. Psychological Bulletin, 112, 446–460.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 우습게 본 댓가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질문을 이렇게 바꿔보자. 그렇다면 “트럼프 같은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되지 않게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혹은 “트럼프 같은 정치인을 대통령으로 뽑지 않게 만드는 사회적 상식은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가.” 과학은 바로 ...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2020.11.03
- 종의 관목, 중층과 상층에는 여러 종의 교목들이 섞여서 자라고 있는 자연림을 상상해 보자. 플랜테이션은 목재 생산과 같은 직접적인 목적에 최적화된 산림이다. 한편, 자연림은 다양한 생물종을 담아내고 있으며, 여러 생물체가 물질 교환과 에너지 전달을 통해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자연림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곁에 있으면 덜 아픈 이유2020.10.31
- 많다고 한다(하지만 자가 진단은 금물.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자). 그 후로도 계속해서 특히 날씨가 오락가락할 때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면 머리가 안에서부터 펑 터지거나 쪼개지는 것 같은 고통이 찾아오곤 한다. 언젠가 한 번은 주치의 선생님이 머리가 어떻게 아픈지 ...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재감염 사례 발견됐지만…과학자들 “여전히 드문 사건”2020.10.29
- PCR 검사 결과 등이 포함돼 있었다. 관련해 7월 메드 아카이브에 게재된 다른 연구를 보자. 해당 연구에는 재감염 의심자의 경우, 최초 감염 후 최소 28일이 지난 후부터 특정 코로나19 항체가 분리되기 시작한다는 증거가 제시됐다. 즉, 2차 감염 의심자는 최초 감염 후 최소 28일내 증상이 발견되어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독감 백신 접종, 효과 얼마나 있나2020.10.27
- 사망자 수 ‘3000+α’는 얼마나 될까. 먼저 우리나라 독감 백신 접종의 역사를 잠깐 살펴보자. 1989년에야 독감 백신 접종 시작 1937년 독감 백신 접종이 처음 실시됐지만, 한국은 이보다 52년 늦은 1989년에야 도입했다. 독감 백신의 역사가 한 세대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2002년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