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뉴스
"
보자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코로나19로 스트레스 받는 아이를 보듬는 법
2020.05.02
존중하는 것이다. 힘든 시기일수록 아이들과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해
보자
. ※참고자료 APA. Talking to kids when they need help. https://www.apa.org/helpcenter/help-kids?utm_source=twitter&utm_medium=social&utm_campaign=apa-parenting&utm_content=help-kids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비의 혈액순환론
2020.04.30
나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 알 나피스나 세르베투스가 발견한 폐순환을 연결해
보자
. 폐동맥은 우심실에 연결돼 있고 폐정맥은 좌심방에 연결돼 있다. 즉, 우심실의 피가 허파로 나가고 여차저차해서 허파의 피가 다시 좌심방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온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심방은 심장 ... ...
[프리미엄 리포트]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04.25
100배 배율은 어느 정도로 잘 보일까. 화웨이 메이트 30 프로와 성능차이를 통해 비교해
보자
. 카메라 성능 비교업체 DXO마크는 메이트 30 프로의 30배 디지털 줌을 사용하면 약 1km 거리에 떠 있는 배의 기관실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식별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1km면 보통 속도로 걸어서 10분 정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들은 트롯 가운데 가사의 비중이 가장 크다고 생각되는 나훈아의 ‘홍시’라는 노래를
보자
. 유튜브 갈무리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 자장가 대신 젖가슴을 내주던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 만일 ARS자동응답기처럼 무심한 말투로 이 가사를 들려준다면 다소 감상적일 뿐 ... ...
[주말N수학]4·15총선 승패 '18세' 유권자가 변수
수학동아
l
2020.04.04
사람은 -1인 사람보다 더 진보적인 성향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이처럼 유권자와 후
보자
의 의견을 1차원의 연속적인 공간에서 나타내는 함수를 정의했다. 또 연구팀은 유권자의 의견에 생긴 작은 변화가 선거 결과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불안정성’이라고 정의했다. 함수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카르노 사이클 이론을 자동차 엔진에 적용해
보자
. 실린더 내부로 주입된 연료가 폭발하면서 나오는 열에너지가 피스톤을 밀어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고 왕복운동으로 피스톤이 원상태로 돌아온 뒤 같은 과정이 반복되며 차가 움직인다. 이때 고온이 727도, ... ...
[프리미엄리포트]산업의 감초 더 싸게 더 많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03.21
말하면 다른 물질을 변형시키는 물질이라 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 소독약을 예로 들어
보자
. 과산화수소가 상처에 닿으면 우리 몸속에 있는 카탈레이스라는 효소가 과산화수소(H2O2)를 물(H2O)과 산소(O2)로 분해한다. 분해 과정에서 우리가 호흡할 때 사용하는 보통의 산소가 아닌, 전자가 하나 더 있는 ... ...
[영상+] 팩트체크! 핵융합 편견과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생산하려는 방식이 핵융합 발전이다. 핵융합 에너지에 대한 편견과 진실을 파헤쳐
보자
. ◆ 핵융합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는 비슷하다? ◆ 핵융합 에너지는 폭발 위험성이 있다? ◆ 핵융합 발전, 우리 시대에는 볼 수 없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매우 잘 타니까 캐번디시는 자신이 플로지스톤을 추출했다고 여겼다. 조금 긴 호흡으로
보자
면 보일의 법칙이 나온 게 1660년인데 각종 기체를 발견하며 기체화학이 번성한 것은 그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18세기였다.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린 이유는 통제 가능한 열원 때문이었다. 화학반응에는 ... ...
[영상+] 인공지능으로 애니메이션을 쉽고 빠르게...이준호 플라스크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자금이나 인프라를 이용해 성장할 수 있는 있었다는 이준호 플라스크 대표를 만나
보자
. [포스텍스타트업100] 웹툰에 동작을 입히는 AI 애니메이터 □ 이준호 플라스크 대표 포항공대 17학번 컴퓨터공학과 네이버 D2SF 입주하여 서비스 개발 중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