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자"(으)로 총 9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2021.07.13
- 인상을 주고 옆모습은 얼굴만 보면 현생인류같다. '혁신' 제공 이제 하얼빈 두개골을 보자. 고인류학 문외한인 내가 보기에는 낮은 이마와 툭 튀어나온 눈 위 뼈, 둥글다기보다는 네모에 가까운 커다란 눈구멍, 그 결과 넓적해진 얼굴, 앞뒤가 긴 두상 같은 특징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떠오른다. 반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2021.07.08
- 결과를 하나 도출할 수 있다. 아무 것도 없는 우주공간을 비행하는 우주선을 상상해 보자. 우주선 안의 우주비행사가 진행방향을 전등을 비춘다. 우주선의 앞쪽에는 빛을 감지하는 장치(광센서)가 있다. 만약 우주선이 앞쪽으로 가속운동을 하고 있다면 광센서가 빛의 펄스를 하나 받고 나서 그 다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2021.06.30
- 작물 개량에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게놈이 처음 해독된 작물인 벼를 예로 들어 보자. 앞서 말했듯이 1960년대 녹색혁명은 벼와 밀에서 반왜성 품종 도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벼는 sd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성장이 부진한 변이체인데, 40년 가까이 지난 2002년에야 이 유전자의 실체가 ... ...
- [인간 행동의 진화] 여자도 싸우는가?2021.06.13
- 종 내 투쟁은 적합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행동 전략이다. 평화롭게 보이는 공원에 가보자. 수많은 곤충과 미생물, 시궁쥐, 길고양이 등이 끊임없이 폭력과 살해, 강간을 저지르고 있다. 하나도 평화롭지 않다. 찰스 다윈의 불도그, 토머스 헉슬리는 이렇게 말했다. ‘동물의 세계는 검투사의 쇼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2021.06.12
-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 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로 그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해보자. 지금 이 분노가 나름 적절한 이유가 있는 분노인지, 아니면 뇌내망상에 가까운 아무 짝에도 쓸모 없는 분노인지 판단해보고 실제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존재한다면 문제 해결에 힘써보는 것도 좋겠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2021.06.11
- 1914년 일식탐사에 성공했다면 어땠을까 상상해 볼 수도 있겠다. 물론 과학계 전체로 보자면 에딩턴이 성공하지 못했더라도 훗날 누군가는 다른 일식에서 아인슈타인의 주장을 결국에는 검증했을 것이다. 실제 1919년 이후에도 일식을 이용한 검증 사례는 많았다. 다만 누가 언제 일식탐사에 ... ...
- 김총리 "2학기 전면등교 치밀 준비…일상회복 출발점"연합뉴스 l2021.06.02
- 보셨을 것"이라며 "도와달라. 가족들과 더 많은 인원이 만날 수 있는 그런 날들 만들어 보자"고 접종 참여를 당부했다. 김 총리는 "코로나19와의 지긋지긋한 싸움도 이제 500일"이라며 "이제 조금만 더 고비를 넘기면 평범했지만 소중했던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며 국민들의 협조를 거듭 ...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2021.05.30
- 페이오프 매트릭스를 가정해보면 대략 예측할 수 있다. 뇌피셜로 소설을 한 번 써보자. 지금부터는 논픽션이다. 생태적 적소를 이미 포화되어 새로운 개척지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달이나 화성이 있지만, 아직은 요원한 일이다. 물론 지리적 개념의 적소가 전부는 아니다. 새로운 산업이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2021.05.23
-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지만 칭찬과 응원은 늘 상상 이상의 힘을 발휘함을 기억해보자. ※참고자료 APA. (2017). The great unknown: 10 Tips for Dealing With the Stress of Uncertainty. https://www.apa.org/helpcenter/stress-uncertainty Rankin, K., Walsh, L., & Sweeny, K. (2019). A better distraction: Exploring the benefits of flow during uncertain waiting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2021.05.18
- 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학술지 ‘분자대사’에 실린 존 스피크먼 박사팀의 연구를 보자. 연구자들은 통제가 쉬운 생쥐를 대상으로 식단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들은 생쥐를 29개 그룹으로 나눠 12주(사람으로 치면 9년) 동안 각기 다른 식단을 준 뒤 칼로리 섭취량과 체중 및 체지방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