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중베타붕괴’를 더 높은 한계까지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몰리브데넘-100의 이중베타붕괴는 예미랩 검출기에서 1초에 2개쯤 관측되겠지만,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는 1년에 고작 1~2번 미만일 것이다. 확률이 너무 낮은 것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단장은 중성미자 천문학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박 교수는 말했다. “신기하죠? 하지만 보시는 큰 로봇이 전부가 아닙니다.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로봇도 있죠. 연구실 이름인 ‘멀티스케일’인 이유입니다.” 외부 자기장으로 몸속 로봇을 움직이다 MBR Lab은 몸속에 들어간 로봇을 움직이고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떤 동물보다 사람을 많이 해치기로 유명해. 지난해에는 전 세계에서 100만 명의 사람이 모기가 옮긴 질병 때문에 목숨을 잃었을 정도지.고심하던 과학자들, 급기야 모기를 모기로 물리치자는 방안을 내놨다는데?! 살충제는 그만! 박테리아로 모기 잡자! 뎅기열은 모기로 인한 대표적인 감염병 중 ...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세포!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세포 속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세포질 등 여러 기관이 들어 있어. 교과서에서 본 적 있다고? 잠깐! 여기 ... 있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 용어 설명*μm(마이크로미터) : 1m(미터)의 1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 ... ...
- 레드 레벨을 위한 마지막 수업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도와줄게!” “선생님, 정답은 24개예요!”“나눌리, 상점 35점을 더 줄게요! 상점 100점이 되었으니, 레드 레벨로 임명합니다!” 선생님의 말씀이 끝나자, 갑자기 알 수 없는 빛이 내 몸을 감싸기 시작했어. 저주가 풀려 다시 사람으로 돌아온 거야!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마법 수업을 열심히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려운 질문이에요. 그렇지만 저를 포함한 많은 수학자가 둘 다라고 대답해요. 수학은 100% 발명 혹은 100% 발견이라고 아주 극단적으로 이야기하기 쉽지 않아요. 저는 그 본질이 발명보다는 발견에 좀 더 가깝다는 의견이에요. 예를 들어 원주율 π를 생각해볼게요. π라는 그리스 문자는 당연히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숫자놀음은 이제 정말 그만둬야 한다. 고만고만한 논문은 100편을 쓰더라도 세계는 알아주지 않는다. 나의 경우에도 2000년대 초 이후로 네이처, 사이언스 등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수 편 실었지만, 사람들이 알아주는 논문은 앞서 말한 두 편이지 않나.Q. 앞으로의 목표에 ...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구로부터 약 1만 2000광년 떨어진 독수리자리 주변의 별이 열흘 사이에 약 100배 밝아졌다가 사라진 뒤 낮은 온도의 신호가 지속되는 현상을 포착했어요. 연구팀은 폭발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낮은 온도의 우주를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적외선카메라의 관측 자료를 살폈어요. 분석 결과, 폭발이 ...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1925년 1월, 미국 알래스카의 한 마을에 디프테리아●라는 전염병이 유행했어요. 당시 추운 알래스카를 가로질러 디프테리아 치료제를 마을로 운반한 주역은 바로 ‘썰매개’였습니다. 개들을 이끈 썰매견 ‘발토’의 이야기는 영화로도 제작될 만큼 유명하지요. 4월 27일,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 ... ...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TV 뉴스에서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법안을 표결하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에는 전자표결기가 설치되어 있어요. ... 줄어들어 소수의 의견이 무시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전자 투표 방식은 에디슨의 발명 후 100년이 지난 1973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실시됐답니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