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식이(!)와 지구력 운동(?!)’이 효과적이라는 처방이 내려졌습니다. 두 달 뒤, 체중은 단 100g도 줄지 않았습니다. 교과서적인 처방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은 제 탓도 있지만, 애초에 유전자 분석은 확률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 지구력 운동을 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다이어트 효과가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6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최종 100만 명의 유전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정밀의학이 실현되면 미래 고령화 사회가 부담할 의료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치료에서 예방 의학으로 가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HGP가 열어젖힌 문이다.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작했다. 하지만 착륙 성공의 기쁨도 잠시, 13일 간의 탐사를 이어가던 프라그얀은 영하 100℃에 달하는 달의 밤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어찌됐든 인류의 탈 탐험사에 큰 획을 그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의 부스엔 전세계 우주 산업 관계자, 연구자, 그리고 관람객들이 북적였다. ISRO 부스에는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다. 우리은하 안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세페이드 변광성과 달리, 우리은하 안에서 50~100년에 한 번 꼴로 터지는 초신성은 데이터가 많이 부족하다. 먼 은하들에서 간간히 초신성이 목격되곤 하지만, 워낙 거리가 멀어서 초신성의 실제 밝기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초신성만으로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든 신약에 대해서도 회사가 영구적, 독점적으로 소유하게 됐다. 그 대신 태호는 현금 100억 원을 일시불로 받았다.그의 뇌와 척수를 적출하는 고난이도의 수술비는 당연히 회사에서 부담했다. 뇌와 척수를 보관할 생명유지장치를 제작하는 비용,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작하는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몇몇 참관하러 내려온 상황이었어요. 날은 무척 덥고 습했고요. 준비를 끝내고, 로켓에서 100m 떨어져서 발사 카운팅을 하는데, 힘이 빠져서 3, 2, 1에서 ‘1’을 부를 때엔 제 목소리가 거의 안들리더라고요. 발사 이후는 기억도 안나요. 너무 힘들어서. 박현우: 저는 로켓에 점화를 하는 역할을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로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펄스를 만들어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기여한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더 짧고, 더 강한 레이저는 원자에서 아주 빠른 속도로 벌어지는 현상을 관측하고 우주 초기의 극한환경을 연구하는 등 현대 과학의 다양한 질문을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했어요. 업적 2. 수학 문제의 새로운 도구,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위튼 교수는 100만 달러의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난제인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에 관한 업적도 세웠어요.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은 기본 입자가 어떻게 양성자와 중성자와 같은 입자를 이루는지, 이 과정에서 질량이 왜 더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50년 후 포브스지 선정 세계 100대 부호 선정 2014년 미국 경제지 포브스 선정 세계 100대 부호로 이름을 올린 제임스 사이먼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명예회장은 수학과 교수부터 펀드 매니저까지 수많은 도전을 했고, 성공으로 이끌었습니다. 도전적인 성향인 사이먼스 명예회장은 겉으로 남부러울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착륙 성공의 기쁨도 잠시, 13일간의 탐사를 이어가던 찬드라얀 3호는 기온이 영하 100℃까지 떨어지는 달의 긴 밤에서 깨지 못했다. ⑨ 스마트 변기 개발한 한국 연구자, 이그노벨상 수상변기로 떨어지는 대소변을 스캔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공로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