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발"(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사요역에서 택시로 10분 정도 달려 도착한 곳은 동경 124° 20′ 17″, 북위 35° 1′ 20″, 해발 435.9m에 위치한 니시하리마 천문대다. 이곳은 1990년 지름 60cm의 반사망원경을 주망원경으로 설치해 일반에 개방했다. 그 뒤 2005년 지름 2m짜리 반사망원경을 들여놓았다. 여고생 3800명이 응모해 지은 ...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5호
- 1979년 스미스소니언 천문대와 애리조나 대학이 협동하여 애리조나주에 있는 해발 2,591m의 홉킨스산 꼭대기에 설치한 것이다파라믹소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라고도 한다전형적인 파라믹소과의 바이러스로, 빌리언(세포 밖에서 감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 입자)은 지름 150~3 ...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도착하면 ‘별빛보호지구 선포문’이 적힌 팻말이 반긴다.강원도 횡성 치악산의 끝자락 해발 650m에 자리잡은 천문인마을. 높은 하늘과 맑은 공기, 순수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이곳은 밤하늘에 흐르는 수많은 별을 볼 수 있어 우주와 맞닿아 있다는 느낌을 준다.낯섦과 따뜻함이 공존하는 ... ...
- 첨벙!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해발 3.7m밖에 안돼요. 산이라고 부를 만한 곳이 없답니다.”가장 높은 곳이 3.7m이고, 평균 해발고도가 3m밖에 되지 않는다는 살라노 씨의 말에 깜짝 놀라는 닥터고글. 마침‘척척수리시스템’을 이용해 수리를 끝낸 제트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 투발루의 전체 모양새를 살펴보기로 한다.“오우, ...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2004년, 전국신인아마추어복싱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받았다.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해발7500m 높이의‘무스타크 아타’산에도 올랐다.모두의 꿈, 멋지게 펼쳐 보일게요!대한민국 첫 우주인으로 선정되어 너무나도 행복해요. 그리고 고맙습니다. 이렇게 영광스러운 역할을 맡겨 준 만큼 ...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얘기를 꺼냈다. 강 군은 “해발 1000m 부근에서 주로 자랐던 조릿대라는 나무가 최근 해발 1800m에서도 자라고 있으며 열대 바다에서나 볼 수 있던 독해파리가 해수욕장에 출몰한다”며 제주도 소식을 전했다.북극의 생태에도 이미 많은 변화가 있었던 걸까. 지난해까지 만해도 캠프 근처에서 가끔 ...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과학동아 l2007년 08호
- 1979년 스미스소니언 천문대와 애리조나 대학이 협동하여 애리조나주에 있는 해발 2,591m의 홉킨스산 꼭대기에 설치한 것이다파라믹소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라고도 한다전형적인 파라믹소과의 바이러스로, 빌리언(세포 밖에서 감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 입자)은 지름 150~3 ...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과학동아 l2007년 05호
- 해마다 눈에 띄게 후퇴하고 있다”며“남극과 그린란드의 빙상과 북극의 해빙이 녹으면 해발고 도가 낮은 투발루 같은 나라는 50년 안에 물에 잠길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닷물의 열팽창도 해수면 상승에 중요한 요인이다. 열 팽창은 온도가 올라가면 유체의 부피가 ... ...
- PART2 투발루여 가라앉지 마소서과학동아 l2007년 05호
- 투 발루의 해수면 최고치는 매년 경신되고 있다. 지난해 2월은 최악이었다. 바닷물이 해발 3.48m까지 차올랐다. 이때 푸나푸티의 가장 높은 지대인 활주로도 물에 잠 겼다. 올해 2월에도 3.21m까지 바닷물이 차올랐다.한달에 두 번씩 사리 때마다 찾아오는 상습적 홍수는 일상이 됐다. 특히 봄철 보 름과 ... ...
- 삼천리 금수강산 '악'산의 비밀을 벗긴다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수 있다. 허허벌판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민둥민둥한 돌덩어리인 에어스록(AyersRock)은 해발고도가 867m이고 둘레는 8.8km에 이른다. 사암질의 바위산으로 날씨에 따라 산의 색채가 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화강암 산이 불의 산인 까닭아직 끝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악산은 동서가 다르다. 서쪽의 악산은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