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물"(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연어의 양식, 내년부터 일반에 보급과학동아 l198810
- 경남 충무에서 각각 이루어지고 있다.한편 자연산 은연어의 살색깔은 붉은빛인데 반해 민물에서 양식한 은연어는 상대적으로 희다. 붉은빛깔의 은연어라야 맛이 있고 산란율도 좋아 상품가치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새우에서 추출된 색소(Canthxanthin)를 7~8주간에 걸쳐 양식중인 은연어에게 먹이면 ...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과학동아 l198810
- 연구중인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어린 바다표범은 '어떻게 바다 포유동물이 내륙의 민물호수에 적응하게 되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케 한다. 호수에는 1천6백m의 수압에 적응된 해저서식 어류와 열대지방 해양에서 익히 볼 수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해면 동물류를 포함해서 약 2천5백종의 ... ...
- "조개가 이처럼 아름다운줄 몰랐다"는 감탄자아내 목포의 조개전시관과학동아 l198806
- 싸여 있고, 머리에 눈과 촉각이 있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대부분 바다에 서식하나 민물이나 육지에 서식하는 것도 있는데, 달팽이 고둥 소라 우렁이 등이 이에 속한다. 부족류(斧足類 또는 二枚貝)는 몸이 2장의 조개껍질에 싸여 있고,도끼 모양의 발로 운동하고 머리는 흔적만 남아 있다. 홍합 대합 ...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과학동아 l198805
- 이곳에는 우리나라와 열대지방에사는 민물고기들을 기르고 있고, 또 경기도에 살고있는 민물고기 99종 가운데 80종이 액침표본으로 전시돼있다. 수족관의 맞은편에 있는 표준원기실이야말로 이곳을 찾는 관람객들이 반드시 거쳐야 할 곳이다. 표준연구소에 있는 표준원기(標準原器)의 모조품이 ...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과학동아 l198803
- 종류가 급변하고 있으며 숫자도 많이 줄었지요. 하구둑으로 매일 얼마씩이라도 일정하게 민물을 방류하는 등의 대책이 있어야 할 겁니다. 주남저수지의 경우는 세인의 주목을 받아 사람들이 몰려들자 새들이 주변의 조용한 다른 저수지로 이동하고 있읍니다. 이들이 편안하게 지내고 갈 조용한 ...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과학동아 l198712
- 댕기흰죽지 및 흰죽지는 1만2천2백에서 2만4천으로, 논병아리류는 1백50에서 1천7백50으로, 민물가마우지(일시 기착)는6에서 1천1백으로, 갈매기류는 2천8백에서 1만6천2백으로 각기 증가한 반면, 수면성 수금류-흑기러기는 3백에서 1백20으로, 고니류는 1천3백에서 6백10으로, 쇠기러기(때때로 기착)는 1천 ...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과학동아 l198709
- 신도가 노랑부리백로등의 집단번식지가 된것은 육지에서 먹이인 민물고기나 민물조개등이 귀해진데다 먹이들이 농약에 오염됐기때문으로 보고있다.희귀한 새들이 사람들이 저지르는 먹이오염과 무분별한 개발을 피해 스스로 외딴 무인도를 서식지로 선택했다는 것이다.또 학자들은 신도나 서해의 ...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과학동아 l198708
- 요즘 송어회나 향어회를 많이 팔고 있는데, 안심 할 수만은 없다. 향어나 잉어등 민물고기로 인해 생기는'요꼬가와 흡충'과 간흡충 같은 기생충증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익혀 먹는 게 안전하며, 생식을 할 경우라면 깨끗한 위생처리과정을 거쳐야 안심할 수 있다 ... ...
- 지구 최후의 오지 아마존과 그 유역과학동아 l198705
- 것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지요. 그래서 모든것이 진귀한데 아마존의 전설의 동물이라는 민물 돌고래를 보았을 때는 특히 감격스러웠지요. 수중촬영을 하고 있을 때 저쪽에서 가까이 다가 왔어요. 초음파로 이쪽을 탐색하고 있더니 위험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가까이 접근해왔어요. 같은 동물끼리의 ...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과학동아 l198702
- 귀뿔농병아리 검은목농병아리 뿔농병아리), 가마우지과(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도요과(민물도요 꺅도요), 매과(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수리과(흰꼬리수리 흰쭉지수리), 할미새과(검은 할미새), 종다리과(발종다리 큰종다리), 멧새과(쇠검은머리쑥새 검은머리쑥새 쇠붉은뺨멧새)등과 재두루미 ... ...
이전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