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물
담수
바닷물
연수
fresh water
d라이브러리
"
민물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
과학동아
l
199309
알을 2-3개 낳고 30일쯤 포란하는데, 육추기간도 1개월 정도다. 이들의 먹이는 개구리
민물
고기 가재 조개 우렁이 등이어서 1960년대 이후 산업사회로의 진입으로 말미암아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등 자연환경이 극도로 악화돼 절멸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농약 과다사용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09
두무진에서 번식하고 있음을 알고 놀랐었는데, 번식 후 자리를 떠난 쇠가마우지와
민물
가마우지를 두무진과는 정반대편인 용기원산 해안절벽에서 이번에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었습니다. 이 두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관광지로 개방된 두무진에서 인간의 위협을 느낀 나머지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05
바다에 비하여 적이 적은
민물
로 들어와 성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바다에서 자라고
민물
에서 산란하는 연어류는 한 어미가 수천 개밖에 알을 낳지 않는데 비하여, 뱀장어는 인공산란 결과 수천만개의 알을 낳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다에는 적이 많아 헤엄을 잘 치지 못하는 알이나 어린 치어는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03
이 새의 먹이인 갯지렁이가 멸종했기 때문이다. 또한 고방오리 알락오리 쇠오리 등
민물
철새가 많이 없어졌으며 흰뺨오리 검둥오리사촌 등 바다철새가 새로 발견되기도 했다. 거제도 연안에서는 그동안 줄곧 2, 3백마리씩 떼를 지어 생활하던 논병아리가 쉽게 찾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임헌영 낙동강 하구 지역은 하구언 댐공사 후
민물
과 바닷물이 섞이면서 종이 다양해진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탐사에서 45종 1만7천여 개체를 관측했는데 큰고니를 비롯 고니류가 압도적으로 많았고(6천3백) 혹부리오리 청둥오리 붉은부리갈매기 알락오리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02
부리는 새들이 작은 씨나 곤충 등의 먹이를 쪼는데 효율적인 기능을 한다. 바다거북이나
민물
거북도 이빨이 없다. 그들에게도 단단한 부리가 있는데 새들의 부리에 따라갈 수 있을 정도의 효율적인 것은 되지 못한다. 그러나 거북은 장수 동물이고 느릿느릿 삶을 살아가므로 특별히 효율성을 필요로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09
오토바이를 타고 질주하는 갱들 같다. 어디를 가든 문제를 일으킨다." 미국 매릴랜드대학
민물
어류과 학과장인 배크만 박사의 말이다.기존질서 무시하는 무법자양식 송어는 완전히 성숙한 상태에서 자연으로 방생되는데, 이들은 원주민인 야생송어가 만들어 놓은 사회질서를 무시한 채 제멋대로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06
바이칼호에는 포카 시비리카(Phoca sibirica)라는 학명의 물개가 살고 있는데, 이것은
민물
에 살고 있는 유일한 물개라고 한다. 호수에는 또한 매우 풍부한 어족이 살고 있어서, 과거에도 오늘날에도 어업은 이 일대 주민들의 중요한 생계수단이 되고 있다. 퉁구스족의 터전오늘날 바이칼지역에는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4
일본의 강이나 호수에서 사는 납자루 아과(亞科, subfamily)와 잉어 아과의 일부 어류는
민물
에 사는 패류(담수패)에만 산란(産卵)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대칭이 말조개와 같은 담수 이매패(二枚貝, 껍질이 두 장인 조개류)가 없는 곳에는 이들 어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런가 하면 이들 이매패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했다. 80년대 중반 TV다큐멘터리로 방영됐던 '수중의 신비' '삼다도의 세계' '한국의
민물
고기' 등의 제작을 도와주면서 사진작가로 변신을 시도했다."해양사진은 육상사진처럼 장기전을 펼수가 없어요. 20~30분 이상 체류가 불가능하고 렌즈나 필름을 교환해야 하므로 한정된 시간에 작품을 만들어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