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생산하는 과정이다. 사진제공 UNIST 제1저자인 민혜기 UNIST 화학공학과 연구원은 “단순한
원리
로 제작했지만 다양한 시료를 손쉽게 분석할 수 있다”며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하면 단분자 질량분석 기술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영 교수는 “차세대 인간 유전체 해독기 개발에도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에너지를 스스로 만드는 최초의 인공세포를 만들었다"며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원리
와 현상을 세포와 유사한 공간에서 실험으로 구현한 성과"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신관우 교수팀이 만든 인공세포. 세포막(붉은색)과, 세포 안에 액틴(흰색)과 세포골격(녹색)이 보인다. 이 인공세포는 ... ...
[과학게시판] KISTI, 中 성도룡능과기유한공사에 기술이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모집한다. 올해는 원소주기율표 탄생 150주년을 맞아 이를 주제로 원소주기율표의 과학적
원리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공학 등 여러 분야를 연결한 교육을 구성했다. 교육기간은 이달 30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다. 교육 참가를 원하면 23일부터 26일까지 홈페이지(http://www.sciencecenter.go.kr)에서 신청하면 ... ...
양자컴퓨터의 산실 ‘IBM 리서치 취리히’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냉각한 초전도 반도체 칩에 마이크로파를 가해 전류를 중첩상태로 만드는 것이 핵심
원리
”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초전도 루프’ 방식은 IBM과 구글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입자이면서 동시에 반입자의 특성을 가지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큐비트 후보로 연구 중이다. ... ...
오명 벗고 치료제로 뜨는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개발됐다. 환자의 면역계를 활성화해 암세포들의 ‘투명망토’를 벗겨버리는
원리
다. 지금까지 흑색종과 폐암, 신장암 등 10개 이상 암종에 대해 5개 이상의 면역항암제가 나왔다. 하지만 면역항암제는 단 20% 환자들에게만 엄청난 치료 효과가 나타나며, 나머지 80%에게는 아무 효과가 없다는 한계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
2019.07.04
벤자민 프랭클린도 볼턴과 깊은 우정을 나눴다. 이들은 특히 전기가 만들어지는
원리
와 이를 이용한 산업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 관심사가 훗날 증기기관에 대한 볼턴의 관심의 기원이 된다. 이들이 과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의 토론을 펼치던 만월회에는, 증기기관을 발명한 제임스 와트(James ... ...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설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뮤온 압축 솔레노이드(CMS)에 들어간 RPC 검출기의
원리
를 설명하고 있는 김태정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스위스 메헝= 이영혜 기자 여기에는 RPC(저항판) 검출기가 들어간다. RPC 검출기는 ‘트리거’ 역할을 하는 장비다. 가속기 내에서 일어나는 입자들의 상호작용 ...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있다. 효소는 세포 내 생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효소는 다양한 질병 발생
원리
및 생명공학 분야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방대한 게놈 정보에서 효소의 기능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는 기술은 중요하다. 효소의 기능을 표기하는 시스템 중 대표적인 게 EC번호다. 특정 효소가 ... ...
최고과학기술人 장석복 교수"랭킹 집착 말고 남이 안하는 새 영역 개척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활용된다. 장 교수는 "저반응성 유기분자의 탄소-수소결합 활성화 과정에 대한 기초
원리
를 규명해 탄화수소를 반응시킬 수 있는 촉매반응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한국 기초과학은 이제 막 시작 단계"라면서 "최근 5~10년새 분명 발전하고 있다는 확신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에 장석복 KAIST 교수·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설명했다. 장 교수는 저반응성 유기분자의 탄소-수소결합 활성화 과정에 대한 기초
원리
를 규명해 탄화수소를 반응시킬 수 있는 촉매반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장 교수는 “이번 수상에 매우 송구스럽고 감사할 뿐”이라며 “지금까지처럼 앞으로도 남은 연구활동 기간 동안 학문적으로 계속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