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40초대를 기록했다. 민 교수는 “성체 뇌에서 일어나는 해마 신경발생 과정을 조절하는
원리
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며 “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 능력 결핍에 쓰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정전기에서 전기 얻는 나노발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최신호에 발표됐다. 증기캡슐공정
원리
와 이를 이용해 제작된 실리콘 스폰지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냈다. KIST 제공 ... ...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PRS, 면역항암제 GRS ARS는 역할이 각기 달라서 치료할 수 있는 질환도 다르고 치료
원리
도 다르다. 지난 5월 15일 경기도 수원시 광교에 있는 연구실에서 만난 권남훈 서울대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예를 들어 PRS가 과도하게 활성화하면 섬유화가 진행되므로 활성도를 낮추는 ... ...
구글보다 뛰어난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배용진 ETRI 언어지능연구그룹 연구원(왼쪽)과 임준호 선임연구원이 코버트의 작동
원리
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ETRI 연구팀은 코버트를 AI비서나 질의응답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현기 ETRI 언어지능연구그룹 책임연구원은 “한국어에 최적화된 언어모델을 통해 한국어 ... ...
누르는 힘 색으로 표현하는 인공 전자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늘려 반응 민감도를 높였다. 미세한 기공과 실리카 나노입자 주변으로 힘이 집중되는
원리
를 이용, 외부 힘에 따라 색이 잘 바뀔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현협 UNIST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복잡한 전기 신호 기반의 인공 전자피부와는 달리 시각적인 색 변화로 외부 자극의 세기를 검출할 수 ... ...
전자제품 고장 원인 54% 발열 줄이는 새 냉각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물이 끓도록 해 냉각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렸다. 또 냉각판 작동
원리
를 기존 냉각장치로 주로 쓰이던 증발방식에서 ‘비등’ 방식으로 바꿔 방향과 관계없이 작동하도록 했다. 기존 증발 방식은 금속으로 만든 심지를 따라 이동하며 냉각하기 때문에 금속 심지를 따라 ... ...
에이즈 유발 HIV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면역결핍 바이러스 백신 연구에 직접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 이
원리
를 적용해서 변종이 심해 치료법 개발이 힘든 독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해서도 연구할 계획”이라고 후속 연구계획을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추정해 그린 것이다. 중력이 측정한 지점의 고도나 주변 지형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원리
를 이용한 방식이다. 하지만 정밀도가 떨어져 가로·세로 1㎞ 이하 해저지형은 식별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바닷속 항해는 물론 해저 케이블과 수중 송유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한층 정교하고 ... ...
버리는 커피 찌꺼기로 바이오 원유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모래와 마찰하면서 증기 상태로 바뀐다. 이 증기를 모아 냉각시켜 바이오 원유를 만드는
원리
다. 연구팀은 반응기를 경사 하강식 구조로 만들어 커피 찌꺼기가 떨어지면서 가열 매체인 고온의 모래와 더 효율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반응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한 숯가루를 태워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다를 게 없어 보일 수 있다”며 “하지만 그런 메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또는 작동
원리
를 만드는 도시는 이제껏 없었다. 이번에 개발하는 시범도시는 철저히 플랫폼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기술보다는 ‘모빌리티 3분의 1로 줄인다’ ‘미세먼지 20분의 1로 줄인다’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