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식된 줄기세포 생명력 높이는 단백질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한호재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체내에 이식된 줄기세포의 생착률을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찾아냈다. 이식된 줄기세포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생길 수 있는 산화 스트레스 등에 저항하는 데 관여하는 단백질을 규명한 것이다. 한호재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연 ... ...
국내 연구진, 플라즈마 활용도 높일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플라즈마 내에서 기존에 알려진 수산기의 생성 방식 외에 산화질소의 광분해에 의한 생성
원리
를 규명했다. 광분해를 촉진시켜 수산기 생성량을 높이면서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광분해 방법이란 플라즈마로 생성된 산화질소가 존재하는 물과 플라즈마에 자외선을 추가로 노출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필요하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과학자사회는 과학계를 움직이는 불평등의
원리
에 그동안 크게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얼마전 캐나다의 젊은 의생명과학자들은 국회와 트뤼도 총리에게 보내는 서한을 통해 젊은 연구자들에게 공평한 연구의 기회를 보장하라는 성명서를 냈다. ... ...
[과학게시판] 2019 재미있는 과학놀이 콘텐츠 경진대회 결과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콘텐츠 경진대회’ 수상작품 25개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과학적
원리
나 현상을 이용해 재미있는 과학 실험∙체험 활동 학습 도구나 놀이 도구 등을 만드는 공모전으로 총 233팀이 참여했다. 수상작은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 2층에서 전시하며 시상식은 17일 개최된다. ... ...
바이러스 단백질이 자궁경부암 유발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구본수 선임연구원은 "HPV가 암을 유발하는 작용
원리
를 밝혀냈다"며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자궁경부암과 두경부암을 치료하는 타깃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HPV의 E7 단백질이 E6 단백질과 함께 체내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과 ... ...
지방 축적 원인 단백질 규명…비만·당뇨 등 치료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권혁무 교수는 “톤이비피 단백질의 작동
원리
를 이용하면 백색 지방세포가 갈색 지방세포의 기능을 갖게 만들 수 있다는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한 연구”라며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을 치료할 약물을 개발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 ...
[주말N수학] 아기 얼굴로 바꿔주는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수학동아
l
2019.08.10
윤곽선을 찾는 과정입니다. 인식 또는 지각을 하는 알고리듬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큰
원리
는 비슷합니다.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 중 가장 잘 알려진 건 ‘비올라-존스 알고리듬’입니다. 이 알고리듬은 2001년 폴 비올라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와 마이클 존스 미쓰비시전기연구소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약 5도 정도 낮추는 데 성공했다. 팬 교수는 2017년 이 연구를 더 진전시켜 같은
원리
로 광 복사냉각 장치 표면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주변 기온보다 낮추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현재 팬 교수와 동료들은 ‘스카이쿨시스템즈(Skycoolsystems)’라는 회사를 창업해 광 복사냉각 장치의 상용화를 ... ...
항산화
원리
이용해 리튬공기전지 수명 약 10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바꿔 세포들이 활성산소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막는다. 연구팀은 이런 항산화 효소의
원리
를 모방한 촉매인 ‘MA-C60’을 개발했다. 그런 다음 이 촉매를 리튬공기전지 양극에 적용했다. 그 결과 이 촉매는 활성산소를 과산화이온와 산소로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활성산소가 일으키는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약물전달을 제어하는 무게 2g의 뇌 이식용 기기를 만들었다. 약물 카트리지는 레고의
원리
를 모사해 쉽게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이 이 기기를 쥐의 뇌 보상회로에 이식해 도파민 활성 약물과 억제 약물이 든 카트리지를 결합한 결과, 간단한 스마트폰 앱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