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초정밀 가공기술, 다이아몬드 박막 등 신물질의 창출과 초고순도 화학물질 정제기술, DNA나 효소 등의 정밀조작, 기존 측정기기의 정밀도 향상, 초고속 대용량의 광컴퓨터 개발, 외과수술용 의료기기의 개발, 광통신 및 꿈의 에너지라고 불리는 핵융합발전 등이 가능하다. SDI의 핵심기술이해를 ...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인이 유기물 형태로 존재한다. 인이 함유돼 있는 체내 물질중 중요한 것으로는 핵산(DNA RNA) 인산지방질 ATP 당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칼슘과 인의 대사는 비타민D의 대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증거는 이렇다. 칼슘과 인의 결핍은(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크게 부족되면) 어린 동물에게 ...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결합하는 성질이 있다. 열처리해 한 생물의 DNA 나선을 풀어 놓고 다른 생물로부터 분리한 DNA 1개의 가닥을 결합시키면 염기 배열의 비슷한 정도에 따라 잡종 DNA(hybrid DNA)의 생성 정도가 다르다. 많은 염기끼리 결합할수록 서로 가깝다고 판단한다.그러나 위에서 든 실험들로도 명확한 해석이 되지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과학동아 l1990년 12호
- 박제표본으로부터 이 동물의 DNA 일부의 지문을 채취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또 이 DNA를 유전공학적으로 재조합하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는 이미 절멸된 고대 생물의 유전정보를 현생생물의 생체내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위성에 ...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과학동아 l1990년 12호
- 전체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총체적 접근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DNA를 조작하는 유전공학적연구는 최종산물인 단백질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생산해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효능이 우수한 신기능 단백질을 생산하고 개량하는 단백질공학분야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과학동아 l1990년 12호
- 만들고, 꽃잎의 색깔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미국 오클랜드 소재 DNA 식물기술연구소 리치 조르겐센은 밝히고 있다.여기서 이상적인 식물이란 꽃이 많이 피고, 줄기가 곧으며, 추위 등 가혹한 환경에 잘 견디고, 꽃병에서도 오래 피어 있는 식물을 뜻한다. 대개 이상식물은 ...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과학동아 l1990년 12호
- 했다. 이밖에도 바이러스저항성 작물과 해충저항성 작물이 개발돼 있다.요컨대 DNA재조합기술 유전자도입기술과 같은 유전공학기술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고부가가치 단백질의 대량생산, 유전병의 치료, 작물과 가축의 품종개량에 ...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과학동아 l1990년 12호
- 시작했다.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을 만든다고 여겨지는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생산하기도 했다. 또 이 병에 걸린 햄스터의 뇌조직세포와 정상적인 뇌세포에서 메신저 리보핵산(m-RNA)의 존재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 발병 메커니즘을 알아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90년 12호
- 성질을 이용하면 고속화학반응의 관찰이 가능하며, 이를 분자생물학에서 활용하면 DNA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구조를 연구하는데 좋은 도구가 된다. 살아 있는 세포의 미세한 과정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 중 노벨상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버클리대학의 김성호박사도 ...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과학동아 l1990년 12호
-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한 합성생물을 탄생시켰다.지금까지 유전자재조합기술(혹은 DNA 조작기술)의 성공은 유전정보의 양(genome size)이 적은 미생물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지만 그 파급효과는 엄청났다. 아직 고등생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렇다할 성과를 나타내지 않고 있으나 그 잠재력은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