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쇠현상의 주된 원인의 하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될때 심해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활동이 둔화 또는 미약해진다는 것이다. '라이낸'교수는 결국 누적되는 미토콘드리아
DNA
의 손상이 '늙음'을 초래하는것 같다고 말하면서 명백한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C와 K는 이런 손상을 어느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것 같다고 주장했다 ... ...
DNA
, 엽록소 파괴하고 광합성 저해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상태에서 찍은 것)오존이 줄면 보다 많은 자외선을 쬐게되고 과다한 자외선은 식물의
DNA
, 엽록소 그리고 광합성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테무라'박사는 말했으며 이같은 견해는 대부분의 학자가 동의하고 있는 것.지구대기는 과거 20여년동안 산업화의 촉진과 오존파괴물질의 증가로 3%가량 ... ...
미국·영국인들의 과학지식 조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나타냈지만 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은 예상보다 훨씬 못한것으로 나타났다.예컨대
DNA
가 무엇인지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응답자가 약 반수가량 되었으며 천연비타민이 합성비타민 보다 좋다고 응답한 사람이 70%정도 되었다. 또 지구 공전주기가 1년이라는 것을 아는 경우도 미국인이 약 반, 영국인은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DNA
고분자 레벨에서 연구하는 분자생물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 더욱 쉽고 완벽한
DNA
조작기술이 개발되었다. 뿐만아니라 어떤 특정 유용물질 생산을 위해 유전자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다시 말해 슈퍼닭을 만들고 코끼리만한 돼지를 만들고, 수박만한 사과를 만들 수 있다(?)고 떠들석했던 ... ...
실제로는 정부지원 얻어내자는 속셈인듯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산만하게 보이는 자유주의제도보다 우월할 수 없다고 주장.그는 근년의 예로서 유전자가
DNA
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 미국 '록펠러'재단에서 발견되었듯이 수많은 연구소와 대학이 자기 나름대로 연구하고 정부는 충고적의견을 제시하거나 보조금을 주고 또는 연구가 지나치게 중복되지 않도록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유전자를 교란하는 치명적 역할을 한다.유전자는 매우 취약하다. 예를 들어 인간 정자의
DNA
는 30억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이 가운데 1쌍의 염기쌍만 바뀌어도'낫모양(겸상)적혈구 빈혈증'이라는 유전병에 걸린다.많은 양의 방사선은 수주일 이내에 건강에 단기적 영향을 준다. 반면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부터 통신 컴퓨터 등의 중요한 전기 및 전자산업은 물론, 수치제어장치나 세포내의
DNA
구조 해석장치에 이르기까지 용도가 다양하다.고집적기술을 바탕ASIC의 발달 배경을 보면 크게 세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는 개성화와 동시에 경제성을 추구하는 사회적 요구 둘째는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알 수 있다. 유전자 그 자체는 아직 판명되어 있지 않고 단지 분리되어 있다. 재조합
DNA
를 사용하는 '간접적'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분리가 꼭 필요할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다형성을 표식으로 이용함으로써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식이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로부터 ... ...
청소년에는 철분이 긴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경우 생후 6개월 이전에 심한 영양실조에 걸리면 뇌세포수가 감소되고 생명 유전물질인
DNA
와 RNA 그리고 효소의 활성도 및 신경전달물질인 뉴로트랜스미터(neurotransmitter)가 감소됨을 볼 수 있다.또 영양불량으로 인해 사망하였거나 혹은 우연히 사망한 아이들의 두뇌연구에서, 어릴 때 심한 ... ...
DNA
분자를 처음 보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though it was much too small to actually be seen.But now, 36 years after the work of Watson and Crick, pictures of a
DNA
molecule have been taken with a scanning tunneling electron microscope―a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