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경원인과 동시대에 존재한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퍼졌고 이들이 그 지역에 살던 원시인들을 대체해갔다는 단일기원설은 미토콘드리아의
DNA
유전자 분석에 그 근거를 갖고 있다.최근에는 아프리카 유럽 서아시아 지역의 인류는 공통의 조상을 갖고 있지만 그 동쪽 지방의 인류는 다지역진화설로 설명해야 한다는 절충론도 등장했다. 아무튼 이번에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모든 생물체는 핵막 안에 유전물질인
DNA
를 함유하고 있으나 원핵세포인 박테리아의
DNA
는 세포질 주위에 떠 있다.그러나 두 발견자들은 자신들이 찾아낸 핵막유사구조를 핵막이라고 단정하지는 않는다. 진정한 핵막이라면 마땅히 갖추고 있어야 할 핵막의 기공들을 찾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다른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
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 있는 사업에 뛰어들어야 하지 않을까. 이것이 G7 진입의 첩경이 아닐지?지금 우리가 c
DNA
연구사업 내지 게놈연구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이 연구사업의 내용중 주목할 것은 관련기술의 혁신이다. 이미 획기적인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벌써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 현미경은 부도체에도 사용가능한데, 산업용(실리콘 웨이퍼의 관찰 등) 관찰용(
DNA
등)으로 널리 쓰인다.1989년에 한스마(Hansma) 등이 개발한 ICM(ion conductance microscope)도 부도체의 원자수준관찰이 가능하다. 또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는 SECM(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 ...
단백질의 위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것이기 때문에 계속 지켜봐야만 한다. 프리만 다이슨은 생명의 진화에 있어 단백질과
DNA
중 어느 것이 먼저였는냐라는 질문을 받자 단백질이라고 대답했다.단백질에 대한 이해는 인류로 하여금 세포병리학 뿐만 아니라 생명 그 자체의 시초에 얽힌 시비를 탐구하는데도 도움을 줄 것이다.Protein is a ... ...
지상에서 가장 큰 생물체 '거물 곰팡이'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처음 발견했다. 그들은 자세한 내용을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는데 곰팡이의
DNA
에서 12개의 유전자를 추출해 분석해본 결과, 모두 한 뿌리에서 나온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미시건주와 위스콘신주의 경계부위에 있는 이 거대곰팡이에 대한 연구는 지난 1988년부터 시작됐다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존재하는 세포핵 속에 부친에게서 물려받은 유전물질이 포함돼 있고, 이 유전물질은
DNA
와 염기성 단백질이 결합한 핵단백질로 이뤄져 있음이 밝혀졌다. 부친의 유전물질을 지닌 정자와 모친의 유전물질을 지닌 난자가결합해 비로소 하나의 완전한 세포가 형성되는 것이다.정자의 일생은 고환에서 ... ...
유전자검색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가능하다는 예상을 하고 있어야 한다. 필자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대기중에서 건조된
DNA
는 비교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사진 2)에서 보면 11개월이 지나도(3,4로 표시된 것) 원형의 유전자형(1,2로 표시된 것)을 보였으며 정액은 여자의 질내에서 성교후 76시 간까지로 원래의 유전자형을 나타냈다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믿을 만한 증거가 없다. 그들은 아프리카에서 현생인류가 대탈출을 한 시기는
DNA
분석 결과보다 훨씬 더 이전일 것이라고 본다.많은 인류학자들이 진실이 이 두 학파의 주장사이 어디쯤에 놓여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중의 한 사람 스미스 박사는 비록 현세 유럽인들이 상당 정도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 원인을 알아낼 수 없다. 대개는 분자생물학의 기술을 동원해 달라진 부분을 찾아낸다.
DNA
배열중 하나만 달라져도 심각한 유전병에 걸릴 수 있고 또 선천성 기형이 되거나 전혀 다른 형질로 나타날 수 있다.사람은 꼬리는 없지만, 선천성 기형 중에서 척추의 마지막 부분이 닫히지 않고 벌어져 있는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