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장치가 스테인리스 재질이라 열전도가 잘 안 돼요. 은박지가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 줍니다.”최근 주목을 받는 것은 고온초전도체 연구다. 김 교수팀은 철 기반 고온초전도체의 임계온도를 높이기 위한 조건이 기존 이론과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고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8월 15일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대물렌즈는 우리가 확대하고자 하는 물체에 가까이 있는 렌즈로, 물체를 크게 확대하는 역할을 하지요.눈에 대는 접안렌즈는 대물렌즈에서 크게 확대한 모습을 우리가 잘 볼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춰 줘요. 만화에서 스미스가 사용하고 있는 ‘스미스소니언 현미경’은 무려 900배까지 확대가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동물의 눈에서 발견되는데, 안구 안쪽에서 빛의 반사를 차단해 상을 명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이 멜라노좀을 좀 더 확대해 분석하자, 결정적인 특징이 드러났다.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멜라노좀이 층을 이루고 있었다(135쪽 사진). 일부는 길쭉한 소시지처럼 보였고 나머지는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3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식하지만 궁금한 건 많은 편집장은 오늘도 전날 새벽까지 마감하느라 눈이 퀭해진 기자들을 질척하게 괴롭힙니다. 심심한가 봅니다. 이달의 희생양은 특집을 맡은 최영준 ... 노동요가 발생하는 등 효용이 있었다며!우 : 안녕히 가세요.편 : …심심할 때 괴롭히는 건 내 역할 아니었냐…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게임 월드가 왜 이렇게 구성돼 있는지 설명하고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지요.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스토리를 정했습니다.메리네 집 연못에는 다양한 동물이 살아요. 그런데 동물 수가 늘어나서관리하기가 너무 어려워요. 동물 수가 적당하도록 메리를 도와주세요. 이제 게임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박명자, 간호장교로 교육받아 초기 마취간호사로 활동했던 이종선 등 간호사가 기여한 역할이 매우 컸다”고 평가했습니다.이뿐만이 아닙니다. 9년간 간호학생을 가르치다가 1966년 서울대병원 수술장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당시 병원에 중환자는 느는 반면 정부 제한으로 간호사 정원이 묶여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술관은 소장품뿐만 아니라 건물의 아름다움만으로도 세계인들을 빌바오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필자가 감동받은 것은 미술관의 아름다움만이 아니다. 미술관 안내 책자에서도 큰 감명을 받았다. 안내 책자에서는 미술관에 사용된 소재들, 특히 티타늄에 대해서는 웬만한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세 개의 뇌 신경이 지나는 통로 구멍이 이 역할을 대신 한다.귀는 균형감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빙글빙글 돌면 속귀의 반고리관이 흔들리면서 어지럼을 느낀다. 모든 턱뼈를 가진 척추동물의 귀에는 전치부, 후부, 측방에 세 개의 반고리관이 있다. 머리와 몸의 움직임을 감지해, 이를 목과 눈의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학술지 ‘생화학’에 발표했다. 이 단백질이 신호를 받아들일지 말지를 결정하는 문지기 역할을 한다고 해서 노화의 ‘게이트 이론’이라고 불린다.박 교수는 “현재 동료 연구자들과 늙은 섬유세포를 다시 젊게 되돌려 증식하도록 만드는 물질을 찾았다”며 “여러 검증을 거쳤고, 유명 과학지의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론적 예측을 확인했다는 의미도 있다. 이 때 연구원들이 만든 측정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