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인공지능으로 발달할 것향후 법적, 윤리적 논란에 대한 합의도 필요하다. 아동이 로봇의
역할
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공개하고 싶지 않은 정보를 의도치 않게 폭로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진술이 전부 기록에 남고 로봇이 사건을 담당하는 경찰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읽으면서 해밀턴은 이 새로운 수식이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도 엄청난
역할
을 할 것을 바로 직감했다. 이타성이나 이기성 같은 사회적 행동도 당연히 하나의 형질이니 말이다. 초고에는 사회적 행동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그러나 동봉한 답신에서 프라이스는 자신이 혈연 선택 이론에서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먹으면 혈액에 높아진 혈당을 흡수했다가 공복 시에 이를 다시 내놓는 저수지와 같은
역할
을 한다. 때문에 적절한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은 노년기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데에 필수적이다.필자가 속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 노화제어 연구단에서는 노화성 근감소증을 제어하는 연구를 하고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파충류보다 야생에서 살아남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고, 이러한 특징이 멸종에 중요한
역할
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공룡의 이빨을 얇게 잘라 편광렌즈로 본모습. 공룡은 이빨이 자라는 속도가 매일 달라 나이테처럼 구분되는 선이 생긴다. 이를 ‘폰 에브너 증가선’이라 부른다. 공룡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기존보다 20배 더 빨라졌다.김 교수는 “거미줄 모양의 자기장 패턴이 고속도로
역할
을 하는 셈”이라며 “질병의 초기 진단과 재발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3월 31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8/am.2017.3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때도 쿼크-글루온 플라스마가 만들어진다는 신호를 얻었다. Q 한국 연구진은 어떤
역할
을 하고 있나안티노리: 현재 한국에서는 8개 기관의 연구자 45명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금 ALICE 검출기 성능을 개선하고 있는데, 중요한 검출기를 한국 연구진이 만들고 있다. 어떤 입자가 들어오는지를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말한다. 당시까지는 원자 내부에 묶여 있는 전자들이 강자성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김 교수의 이론은 이런 관점을 뒤집는 것이었다.대학원을 졸업한 후에도 그는 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다보니 학술지에서 논문을 심사하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세포들은 서로 빽빽이 밀착돼 꼼짝달싹하지 않습니다. 세포막에 벨크로(찍찍이)
역할
을 하는 접착 단백질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배반형성 과정이 시작되면 이런 단백질이 사라집니다. 자유로워진 세포들이 활발히 움직이면서 한 겹이었던 세포가 세 겹이 되는 거죠. 움직이지 않던 세포들을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한 이고르 시코르스키는 “헬리콥터는 인명을 구조한다. 그
역할
이야말로 인류 비행의 역사에서 가장 영광스러운 한 장이다”라고 말했다.혀로 치아를 쓸었다. 상상하자 잠깐 소름이 돋았다. 현미경을 발명해 최초로 미생물을 들여다 본 안톤 반 레벤후크가 자신의 치아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있어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블랙번 교수는 텔로미어와 텔로머레이스의
역할
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존스홉킨스의대 캐럴 그라이더 교수, 하버드대 의대 잭 조스택 교수와 함께 200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영원할 것 같던 텔로미어 가설의 영광도 끝이 나다텔로미어 가설이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