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람들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니 무척 뿌듯해! 역시 모든 생명체들은 저마다의 역할이 있나 봐! 앞으로 계속될 사이버그의 활약을 쭉 지켜봐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 능력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이런 능력을 함양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요. 육군사관학교에서 생도들은 국방자료나 수학적 전투 모형을 학습해 군사 실무 능력을 기릅니다. 수학을 기초로 해서 미래 군의 리더가 되고 싶다면 주저하지 말고 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의 길을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인공지능으로 발달할 것향후 법적, 윤리적 논란에 대한 합의도 필요하다. 아동이 로봇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공개하고 싶지 않은 정보를 의도치 않게 폭로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진술이 전부 기록에 남고 로봇이 사건을 담당하는 경찰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야의 가장 큰 프로젝트라 불리는 ‘국제 암유전체컨소시엄(ICGC)’에서도 CRG가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Women in Science’CRG의 연구원은 400명 정도 됩니다. 재밌게도 스페인 연구자들의 비율은 높지 않습니다. 연구원의 60%가 세계 각지에서 모인 외국 연구자들입니다. 유럽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다.인류의 유리 제조 기술이 문명의 주도권을 동양에서 서양으로 옮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관점도 있다. 과학사에 따르면, 18세기 이전까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이 문명의 우위에 있었다. 종이와 화약, 나침반 등이 동양에서 처음 발명됐다. 하지만 도자기 제조 기술을 중시한 동양과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과식을 자주 하게 되면 IGF-1의 분비량이 늘어난다. 칼로리 제한은 IGF-1의 양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왜소증인 사람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IGF-1이 거의 생산되지 않으니, 소식을 한 것처럼 칼로리 제한 효과를 가진다.여기에는 반론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칼로리 제한 실험이 실험실 내의 제한된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파충류보다 야생에서 살아남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고, 이러한 특징이 멸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공룡의 이빨을 얇게 잘라 편광렌즈로 본모습. 공룡은 이빨이 자라는 속도가 매일 달라 나이테처럼 구분되는 선이 생긴다. 이를 ‘폰 에브너 증가선’이라 부른다. 공룡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엘라스틴 없는데 제대로 기능할까 한계도 있다. 최근에는 장기마다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역할이 다르고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예컨대 피부에서 뽑아낸 세포외기질은 엘라스틴 성분이 많아 유독 쫀쫀하다. 세포가 특정 세포외 기질의 분자와 결합해야만 장기가 제 기능을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때도 쿼크-글루온 플라스마가 만들어진다는 신호를 얻었다. Q 한국 연구진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안티노리: 현재 한국에서는 8개 기관의 연구자 45명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금 ALICE 검출기 성능을 개선하고 있는데, 중요한 검출기를 한국 연구진이 만들고 있다. 어떤 입자가 들어오는지를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말한다. 당시까지는 원자 내부에 묶여 있는 전자들이 강자성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김 교수의 이론은 이런 관점을 뒤집는 것이었다.대학원을 졸업한 후에도 그는 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다보니 학술지에서 논문을 심사하는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