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1m짜리 금속 20m까지 6분 만에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나노
결정립은 100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일 경우를 일컫는다. 초미세립과
나노
결정립은 초소성 현상의 중요 전제조건으로 꼽힌다. 그 결과 고엔트로피 합금이 초당 5% 정도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기존 공정은 초당 0.01%~0.1% 변형을 일으킨다”며 “그보다 50~500배 ... ...
포항공대 연구팀 1m 금속을 20m까지 늘이기 성공
연합뉴스
l
2020.06.11
고엔트로피 합금에 고압 비틀림 가공을 통해 초소성 현상 중요 전제조건인 초미세립
나노
결정립을 형성하고 고온에서 결정립 성장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초당 0.01∼0.1% 변형하는 데 그친 초소성 공정 속도보다 빠른 초당 5% 고속 변형으로 2천%에 이르는 세계 최고 수준의 늘이는 비율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바이러스를 죽일 수도 없다. 결국 항균 필름은 소비자원이 불법으로 판매를 금지시킨 은
나노
젖병과 조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다. 자신의 건강과 안전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지켜야 한다. 엉터리 과학을 앞세워 소비자의 주머니를 노리는 엉터리 광고를 경계해야 한다. 신비와 기적에 대한 유혹을 ... ...
온도 따라 스스로 열 차단 스마트 윈도우 ‘급속광소결’ 공정으로 상용화 이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쪼아 표면만 얇게 소결하는 ‘급속광소결’ 기술을 개발했다. 이산화바나듐이 포함된
나노
잉크를 초음파 스프레이로 코팅한 후 제논램프를 짧게 쪼여 박막을 소결하는 기술이다. 입자에 수천 분의 1초 단위로 한순간 강한 빛을 쏘면 물질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원리를 소결에 활용하는 것이다. ... ...
나노
신소재 '멕신' 전기 잘 통하는 긴 섬유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기존의 멕신 섬유의 약 20배, 강도는 10배 높았다. 연구팀은 “강도는 탄소로 만든
나노
신소재인 그래핀에 버금가는 전기전도성과 강성”이라고 말했다. 더구나 기존의 고온 공정이 아닌 상온 공정을 이용해 상용화 응용 가능성도 높였다. 연구팀은 개발한 멕신 섬유를 발광다이오드(LED)의 전선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 튕겨내는 '초소수성' 유지하며 강성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6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소수성은 미세한 돌기 구조 덕분에 형성된다. 수
나노
미터(nm·10억분의 1m)에서 100nm 범위의 돌기들이 물을 튕겨낸다. 돌기들이 물과 표면이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식이다. 문제는 이런 초소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정밀한 제조공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정밀한 ... ...
메모지처럼 붙이고 가위 잘라도 빛나는 LED 패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유지하는 질화갈륨 발광다이오드(LED) 패널 제작기술이 개발됐다. 홍영준 세종대
나노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홍석륜 세종대 물리천문학과 교수, 김문 미국 텍사스주립대 재료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기판에서 쉽게 떼어내 자유롭게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질화갈륨 소재 마이크로LED를 개발해 이달 ... ...
[인사] 한국기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김봉기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장 조규백 ▽실장급 △3D프린팅장비연구실장 하태호 △
나노
공정장비연구실장 장원석 △자연모사응용연구실장 이준희 △열시스템연구실장 윤석호 △시스템바이나믹스연구실장 김상렬 △구매자산실장 ... ...
이정우 서울대 교수, IEEE 프레드 엘러식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통합해 출범한 160여개국 42만3000여명의 회원을 둔 공학자 단체다. 통신 기술,
나노
기술, 인공지능(AI)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표준을 주도한다. 이 교수는 2017년 발표한 ‘다중 셀 비직교 다중접속기술’ 연구 논문으로 프레드 엘러식상을 받았다. 다중 셀 비직교 다중접속기술은 5세대(5G)와 6세대(6G) ... ...
네이처 “예산삭감·감사 등 부침 겪은 IBS 전환기”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어려울 경우 지연될 수 있다. IBS의 외국인 연구단장인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
나노
과학연구단장은 “평가와 같은 압박을 좋아한다”며 “만일 8년간 톱 클래스의 연구단을 구축하지 못한다면 연구단장에 맞지 않거나 지금과 같은 환경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