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난시 보호막 치는 로봇건물·식물과 대화 기술…난제에 도전하는 과학자 아이디어 쏟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적용될 수 있는 자기조립기술을 제안했다. 규모가 바뀌면 물리적 환경이 바뀐다.
나노
세계에서는 입자의 결합이 수소결합 등에 의해 좌우되지만, 그보다 큰 세계에서는 정전기력이나 마찰력 등에 좌우된다. 이렇게 규모가 달라지면 전혀 다른 물리에 의해 지배를 받기 때문에 이들을 넘나들며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나노
그레인으로 코팅하는 방법을 고안해 열전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김 교수는
나노
과학 분야 개척자로 320여편의 SCI급 국제학술 논문과 13편의 특허 등 우수한 연구업적으로 기초과학 분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과학기술포장을 받은 손영숙 경희대 교수는 한국줄기세포학회 ... ...
'빛 공장' 방사광가속기 신약·반도체 개발의 '씨앗'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이용하면 마치 현미경처럼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던 단백질 구조, 세포분열 과정은 물론
나노
소재 물성 변화까지 직접 볼 수 있다.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온 연구성과는 실제로 산업 판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일본이 수출 규제 품목으로 지정한 반도체 관련 소재인 극자외선(EUV)용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l
2020.04.11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근 지름이 100~500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
섬유로 20회 이상 세탁해도 재사용 가능한 멤브레인(얇은 면)을 개발했다. 서울시 산하 서울기술연구원은 5월 8일까지 상금 총 2억 원을 걸고 대체 필터와 신개념 마스크 기술을 공모하고 있다. 한편 ‘만렙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nK는 10억 분의 1K) 수준으로 낮췄다”고 말했다. 다른 입자와 충돌시키는 방법으로 분자를
나노
켈빈 수준으로 냉각시키는 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자는 이 상태를 최대 1초 유지했다. 손 연구원은 “지난 15년간 충돌을 통해 분자를 효율적으로 극저온으로 냉각시키는 일은 거의 ... ...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
과학동아
l
2020.04.08
데이비스 연구원은 “나비 날개 표면의 미세구조를 응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탄소
나노
튜브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더 얇고 더 쉽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10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 ... ...
[의학 바이오 게시판] 이대서울병원, 코로나19 검사 2000건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전극 침을 암을 둘러싸듯이 고정시켜 초당 수백만 번의 전기 펄스를 가해 암세포 벽에
나노
스케일의 구멍을 뚫어 세포를 없애는 방법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9년도 정책현안자료 10종이 발간됐다고 7일 밝혔다.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연구와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 ...
GC녹십자지놈-셀레믹스, 코로나19 전장유전체 분석 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분석하는 서비스다. 바이러스 유전자 전체 영역의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0.01ng(
나노
그램. 1ng은 10억 분의 1g) 수준의 극소량의 검체로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 시간은 7일 이내다. GC녹십자지놈은 “지속적인 염기서열 해독을 통해 돌연변이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 ...
배송 식품 변질 가능성 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노출되면 '손상됐다'는 경고 표시가 나오는 식이다. 이 기술은 한번 상온에 노출돼
나노
구조가 사라지면 원상복구가 불가능하다. 조작이 불가능한 것이다. 오동엽 선임연구원은 “상온 노출 시간도 임의로 느리게 조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가격도 싸다. 한 개당 10원 대에 불과하다. 또 얍고 ... ...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
과학동아
l
2020.04.07
빛이 다양한 위상값을 가질 수 있도록 회절시키는 평면렌즈를 고안했다. 렌즈 위에 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평면구조를 설계해 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과 가까운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 등이 모두 렌즈의 초점으로 들어오는 MDL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파장이 850nm인 빛으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