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특성이 있어 선폭을 줄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려면 수
나노
미터(nm·10억분의 1m)의 선폭을 가진 기존 반도체보다 훨씬 큰 20nm 이상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F램은 플래시메모리보다 상용화가 더뎠다. 연구팀은 산화하프늄에 3~4V 전압을 가하면 원자 사이 힘이 끊어진다는 ... ...
나노
필터 마스크 유해성 공방 법적 다툼으로 이어져
연합뉴스
l
2020.07.01
없다고 밝혔다"며 반박했다. 또 오는 2일 전교조 대구지부 등과 함께 대구시교육청에서
나노
필터 마스크 사용실태 파악과 전량 회수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 ...
나노
기술의 최전선을 만난다...'
나노
코리아 2020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일본 수출규제와 코로나19로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크다”며 “ 행사를 통해
나노
기술이 발전하고 융합산업으로 발전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정렬되는 현상으로 자석이 N극과 S극을 구분하며 정렬되는 원리이기도 하다. 스핀파는
나노
미터 크기의 작은 스핀들이 집단으로 움직여 만들어낸 파형을 의미한다. 스핀파는 주파수가 매우 높은 영역에 분포하고 전력 소비가 매우 적어 초고속 초저전력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스핀을 이용해 ... ...
살아있는 세포 손상 없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성공
연합뉴스
l
2020.06.29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고정 후 안정화 작업을 거친 표본만 관찰할 수 있다. 연구팀은 0.2
나노
미터 두께의 그래핀(흑연의 한 층에서 떼어낸 2차원 물질) 박막으로 세포를 보호,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분자 단위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높은 강도와 전기 ... ...
공기청정기 부착하는 살균기 우수 R&D 혁신제품 지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살균기가 우수 연구개발(R&D) 혁신제품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국내
나노
광촉매 중소기업 벤텍프론티어가 개발한 바이로 공기 살균기를 과기정통부 제1호 우수 R&D 혁신제품'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부터 정부 R&D 성과를 사업화한 중소기업 제품이 생산한 제품 ... ...
"자외선C 실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활용해 실내에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나노
’ 2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형광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로 UVC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UVC를 ... ...
'어느 가위가 잘 들까' IBS 유전자가위 13종 추천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유전자가위 기술의 약점을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형범
나노
의학연구단 연구위원(연세대 의대 약리학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가위 변이체 13종의 효율을 비교·분석하고 최적의 교정도구를 골라주는 딥러닝 기반 시스템 ‘DeepSpCas9variants’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 ...
'1조분의 1초'만에 원자가 분자로 바뀌는 전 과정 세계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과정을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포착해내는 데 성공했다. 이효철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이달 2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밝혔다. 물질의 기본 단위인 원자는 화학결합을 통해 분자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원자는 수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IBS)과 매니시 초왈라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스테판 로슈 스페인 카탈루냐
나노
과학기술연구소 교수 등과 공동으로 반도체 소자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절연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이달 25일 발표했다. 반도체 기업들은 소자에 더 많은 정보를 담고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