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002년 인간공학회지에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황 교수팀은 뇌를 다친 적이 없는
정상
인 1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두개골을 열지 않고 움직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정엽 바로 위쪽인 정수리의 두피에 센서를 붙였다. 참가자들이 양손과 양발을 움직이는 동안 센서가 감지하는 뇌파의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선명한 화질의 방송을 시청하지 못한다. 전파가 건물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반사파가
정상
파 간의 차이로 화면 떨림이나 잔상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최근 추진 중에 있는 디지털 TV 전송 방식에서도 이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다. 게다가 가장 많이 보급돼 있는 휴대 전화는 비싼 통신료와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수성은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2003년은 필름의 시대가 가고 디지털카메라와 카메라폰이
정상
에 우뚝 올라선 해다.20-30만화소 대에 머물던 카메라폰 화질이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최근 1백만화소급으로 급성장했다. 이미 내년 상반기에는 2백만화소급 카메라폰의 출시가 예정돼 있다는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간에서 반응성이 높은 중간체로 바뀐다. 이들 중간체는 세포의 DNA를 공격함으로써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과정을 유발한다. 캅사이신은 발암성 물질들이 중간체로 바뀌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발암과정을 억제한다.필자를 포함한 몇몇 연구자들은 최근 캅사이신이 위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
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또 D₂O는 중성자를 흡수하기 때문에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나 냉각재로 사용되고 있다고대 중국의 우주관이던 혼천설을 기초로 하여 천체의 운행과 그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5일 이후 교신이 두절됐다.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0월말의 태양 폭발로 무궁화위성이
정상
궤도를 지키기 위해 연료를 다량 소진하고 있어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는 가능성이 보도됐다. 그러나 KT 위성운용단에서는 “아직 무궁화위성의 수명과 서비스 운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200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아니라는 말이다. 교육은 순조롭게 무리없이 그 단계에 맞게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
정상
급 공학자가 될 수 있는 노하우는 무엇이었습니까?”“우선 학자로서 마음가짐과 실력을 갖춰야겠지요. 이와 함께 기회를 잘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람에게는 최소한 인생을 좌우할 기회가 세번 오고 ... ...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F-15B기에 장착된 기기들과 지상의 관측장비로 소닉붐을 측정했다. 그 결과 앞서 비행한
정상
적인 F-5E기는 소닉붐을 발생시켰지만, 모양을 바꾼 전투기에서 나온 소음은 그 3분의 1에 불과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뭉툭한 코의 F-5E기는 38파스칼(Pa, 1Pa=1N/m2)의 소음을 발생시켰다. 나사와 ...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년) 등 국방기술이 발달했다. 이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에서 알 수 있듯 항공우주공학은
정상
권에 진입했다.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한데 이어 아시아인의 주식인 벼게놈프로젝트를 주도했다. 반도체와 컴퓨터 분야에서도 매우 빠른 속도로 선진국들을 맹추격하는 상황이다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뒤 어떻게 거미집을 짓는지 관찰했다. 약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거미집의 형태가
정상
에서 벗어날 것이다. 아라네우스 디아데마투스(Araneus diadematus)라는 학명의 흔한 집거미가 만든 거미집을 보면 약물에 따라 변형된 정도가 다르다.결과는 놀랍게도 카페인을 먹은 거미가 가장 엉터리로 거미줄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