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로미, 들쭉나무 등 다른 고산식물들도 더워지는 날씨에 쫓겨 서식지가 계속 산의
정상
부로 좁혀지고 있다고 한다.기온이 높아지면 식물은 움을 빨리 틔우고 잎도 빨리 자란다. 이럴 경우 큰 나무 밑에서 자라는 하층식물이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하층식물은 큰 나무에서 잎이 자라기 전에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주름이 쉽게 생긴다.피부암 예방도 멜라닌의 중요한 역할이다. 자외선은 DNA를 손상시켜
정상
세포를 암세포로 만든다. 실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 자외선에 취약한 백인들은 피부암에 잘 걸린다.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백인의 경우 지난 50년간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발생률이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
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또 D₂O는 중성자를 흡수하기 때문에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나 냉각재로 사용되고 있다고대 중국의 우주관이던 혼천설을 기초로 하여 천체의 운행과 그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아니라는 말이다. 교육은 순조롭게 무리없이 그 단계에 맞게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
정상
급 공학자가 될 수 있는 노하우는 무엇이었습니까?”“우선 학자로서 마음가짐과 실력을 갖춰야겠지요. 이와 함께 기회를 잘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람에게는 최소한 인생을 좌우할 기회가 세번 오고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5일 이후 교신이 두절됐다.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0월말의 태양 폭발로 무궁화위성이
정상
궤도를 지키기 위해 연료를 다량 소진하고 있어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는 가능성이 보도됐다. 그러나 KT 위성운용단에서는 “아직 무궁화위성의 수명과 서비스 운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200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간에서 반응성이 높은 중간체로 바뀐다. 이들 중간체는 세포의 DNA를 공격함으로써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과정을 유발한다. 캅사이신은 발암성 물질들이 중간체로 바뀌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발암과정을 억제한다.필자를 포함한 몇몇 연구자들은 최근 캅사이신이 위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수성은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2003년은 필름의 시대가 가고 디지털카메라와 카메라폰이
정상
에 우뚝 올라선 해다.20-30만화소 대에 머물던 카메라폰 화질이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최근 1백만화소급으로 급성장했다. 이미 내년 상반기에는 2백만화소급 카메라폰의 출시가 예정돼 있다는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2인 화합물을 만들고 일반적으로 무색 남북 양반구의 20˚~40˚ 정도의 위도대에 거의
정상
적(正常的)으로 있는 고기압 성인(成因)으로는 적도지대에서 상승류(上昇流), 아열대에서 하강류(下降流)가 되는 대기의 대순환 규모의 수직순환(대규모적인 대류〈對流〉)에 의해서 적도 상공에서 아열대로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정도 타당성이 있음이 보여준다. 스킨십, 즉 촉각의 자극은 남녀관계 뿐 아니라 사람이
정상
적으로 성장하고 살아나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 시절 피부접촉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면 어른이 돼서도 사회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다.촉각은 다른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뒤 어떻게 거미집을 짓는지 관찰했다. 약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거미집의 형태가
정상
에서 벗어날 것이다. 아라네우스 디아데마투스(Araneus diadematus)라는 학명의 흔한 집거미가 만든 거미집을 보면 약물에 따라 변형된 정도가 다르다.결과는 놀랍게도 카페인을 먹은 거미가 가장 엉터리로 거미줄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