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초저밀도지단백질은 T는 높고 C는 보통이다 고지혈증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LDL이 비
정상
적으로 많아진 경우가 가장 흔하다 즉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보통인 반면 콜레스테롤치가 대단히 높은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건강을 위해서는 LDL보다는 HDL의 증가가 유리하다감각 지각능력에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막으면서 질식사했고 나머지 쥐들은 기침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덩어리를 밖으로 내뱉어
정상
으로 되돌아왔다는 것이다. 결국 탄소나노튜브가 폐에 독성을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미다.상반되는 두 연구결과를 갖고 나노입자가 인체에 유해하다 그렇지 않다를 판단하기는 아직 섣부른 일이다.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남하해 서식하다가 지구가 더워지면서 서서히 높은 고도로 밀려나 지금은 백두산
정상
부근에만 서식하고 있다 계속해서 지구가 더워지면 이 꽃은 더욱 높은 고도로 이동하다가 결국 멸종할 것으로 염려되는 귀한 식물이다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이 1936년 발표한 가상의 자동기계 테이프에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받게 되므로 각인유전자도 어머니의 것만 있게 된다. 반면 복제에 사용된 체세포는
정상
적인 수정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이것으로 복제된 배아 또한 부모 양쪽으로부터 받은 각인유전자를 모두 갖게 된다.연구팀은 시벨리 교수로부터 단성생식으로 만든 원숭이 배아 줄기세포를 받아 각인유전자의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용해 항상성을 유지한다. 웬만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이 네트워크는 항상성을 곧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놓는다. 즉 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하지만 만약 강력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면 우리 몸 안에서는 여러가지 생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상이므로 총 우주여행기간이 3년은 돼야 한다. 따라서 이 긴 시간동안 사람이 우주에
정상
적으로 머물려면 먹거리, 산소를 비롯해 연료 등 각종 부대시설이 그만큼 규모가 커져야 한다. 당연히 비용은 천문학적일 수밖에 없다.유인달착륙을 포함한 총 17차례의 아폴로계획에는 총 2백40억달러가 ... ...
한국인, 광우병 취약한 유전자 가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메티오닌을 받았다. 이에 주목한 일송생명과학연구소와 국립보건원은 국내
정상
인 5백명을 대상으로 프리온 유전자를 조사했다. 그 결과 95%가 부모에게 모두 메티오닌을 받은 경우였다. 김 교수는 “영국이나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45%가 메티오닌-메티오닌인 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 ...
로봇 과학자 탄생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돌연변이체를 만든다. 이것을 특정 화학물질이나 영양분이 들어간 배양액에서 키우면서
정상
개체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내 기능을 추정한다. 그리고 다시 이런 가정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비슷한 방식으로 수행하게 된다.로봇 과학자도 같은 과정을 밟았다. 우선 소프트웨어로 가설과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십상이었다. 피카드 이전에 성층권 진입을 시도했던 미국인 호손 그레이는 에베레스트산
정상
고도에 도달했는데 착륙했을 때 죽은 채 발견됐다.피카드 교수의 성공은 기압이 떨어지는 일을 막아주고 저산소증으로부터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고안해낸 캡슐 형태의 알루미늄 곤돌라 덕분이다. 이후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단백질로 둘러싸고 있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다.이밖에
정상
프리온이 감염 프리온의 형태로 변형되는 기전과 감염 프리온이 신경세포를 어떻게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머지않아 세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할지도 모를 일이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