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때문이다.그렇지만 비행기를 이용한다고 해서 우리나라에서 출발해 에베레스트산
정상
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문제공간이 3차원을 넘어 TSP와 같이 다차원으로 바뀌면 이 확률이 얼마나 될지는 상상하기 힘들다.유전자 수에 비례하는 세포 수스튜어트 카우프만은 의사이자 뛰어난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발신부나 자동기록온도계로서도 쓰인다점탄성 액체의 법선 변형력 효과의 하나로서
정상
변형유동에서 탄성변형부분이 커지면 유선(流線)방향에 변형력 이외의 장력이 생기고 이것과 수직방향에 압력이 생기는 현상 생물이 체내에 갖춘 생물 시계에 의해 지배되는 주기적 변화의 리듬 개월(槪日)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가까운 곳이 잘 안보이는 원시인 경우는 수정체의 굴절력이 약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상
시력인 사람보다 빨리 노안이 나타난다. 반면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혀 먼 곳이 잘 안보이는 근시인 사람은 수정체의 굴절력이 강한 경우가 많아 비교적 노안이 늦게 나타난다.노안 치료의 기본적인 ... ...
한국산 똑똑한 쥐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안의 칼슘 농도가 늘어나고, 늘어난 칼슘은 칼슘 통로를 통해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가
정상
농도를 유지한다. 연구팀은 칼슘 통로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내 신경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보통 쥐보다 높게 유지하자 쥐의 학습능력과 기억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신 박사는“인간에게 ... ...
태양 표면은 울퉁불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이번 사진은 초고온 플라스마 가스로 이뤄진 수백km 높이의 산
정상
과 계곡을 보여준다. 노스브릿지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 존 로렌스 교수는 이번 사진을 통해 태양의 밝은 부분인 백반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백반은 태양 표면에서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때는 화면을 좌우로 늘리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에 담긴 영상이 가로로 늘어나 관객은
정상
적인 화면을 보게 된다.필름은 릴(reel)에 장착한다. 릴 한대는 최대 약 2시간 짜리 영화까지 상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영시간이 이보다 길 경우 두대가 필요하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커다란 CD를 ... ...
5 인파에 섞인 범인 잡는 지능형 재난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지능형 비디오 감시 및 모니터링 기술, 움직이는 대상의 동작 패턴을 자동분석해 비
정상
행동을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검출해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이 있다.더 나아가 야간이나 화재 발생 시에도 적외선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영상센서기술, 유무선 센서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 ...
올빼미족과 새벽족의 생물학적 차이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조정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유전자로 결정되는 주기가 24시간보다 짧거나 긴 사람은
정상
인에 비해 잠을 제대로 못 자거나 많이 자게 된다.연구팀은 24시간 주기보다 더 긴 주기를 갖고 있는 수면지연증후군(DSPS)인 환자들의 혈액 샘플도 분석했다. 수면지연증후군인 환자는 늦게까지 잠을 이루지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케톤체의 감소, 부신 피질 기능의
정상
화, 파라아미노벤조산 아세틸화 능력의 상승 내지
정상
화 등을 볼 수 있다조혈장기에 주는 영향이나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염려가 없고 공복시나 야간의 저혈당 증세나 국소알레르기 등의 부작용도 없다 분자 내에 2개 이상 짝수개의 키랄(chiral)한 원자단을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 차이에 따라 전기영동에서 이동거리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면 대상 유전자가
정상
유전자와 같은지 또는 다른지를 알아낼 수 있다.하지만 SSCP 방법은 전문적인 실험실에서조차 오차 범위가 커, 최소한 10번 정도의 실험을 거쳐 결과를 발표하는 방법이다. 황 교수는 “학계에서는 이렇게 발표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