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야기 하나양강 땅에 큰 부자가 살았다. 아들은 없고 십 오륙 세 되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시름시름 앓더니 명의를 모두 불러 보여도 차도가 없었다. 병을 ... 모든 것을 바라보았다. 원숭이가 그 모든 것을 바로 보았다.원숭이가 날지 못했다.원숭이가 날았다.원숭이가 마지막으로 날았다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초승달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이때, 교집합인 영역의 크기와 두 집합을 나타내는 원의 크기에 따라 초승달의 모양은 달라진다. 벤 다이어그램에서 왼쪽 집합을 A, 오른쪽 집합을 B라고 하자. 그러면 초승달로 된 부분(L)은 B-A 또는 L=B-(A∩B)와 같이 집합의 차집합으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한편,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없을까? ‘조르당 곡선 정리’란 수학 이론에 주목해 보자. 먼저, 원을 하나 그려보자. 원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이다. 이렇게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을 ‘닫힌 곡선’이라고 부른다. 이제 도형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자. 어떠한 점을 잡아도 닫힌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때문에 기존의 방식으로는 직접 자극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최근 나노재료 기술이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2011년 말, 존 로저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교수팀은 자유롭게 휘어지고 늘어나는 미세 전극 배열을 개발했다. 이 전극은 주름진 대뇌 피질 표면에도 쉽게 부착이 가능해, 뇌 주름 깊은 곳에서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868년 어느 날, 장소는 영국이었다. ‘공룡’이라는 이름을 처음 만든 학자 리처드 오언과 ‘다윈의 불독’이라고 불렸던 토머스 헉슬리가 한 강연 ... 화석을 700파운드(오늘날 가치로는 1억 원)에 샀는데 현재 이 정도로 보존된 시조새 화석은 16억 원이 넘는다. 1억 년이 넘은 깃털의 가치다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만든다.그리고 인류가 본격적으로 소수를 연구의 주제로 삼은 시기는 고대 그리스다. 기원전 300년경 수학자 유클리드는 이미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처럼 소수 연구는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여전히 많은 미해결 문제가 존재한다.여전히 추측으로 남아 있는 골드바흐의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의 표지를 장식했다.2030년, 세계 10위권 목표현재 UNIST는 2000억 원을 투자해 10만m2 규모의 연구 공간을 짓고 있다. 세계적으로 뒤지지 않는 첨단 연구 인프라를 갖춘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이다. 2030년까지는 세계 10위권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되겠다는 게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가야 해요. 총기는 현지에서 하루동안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받는데 교육비는 약 40만원이랍니다.또다른 연구지역인 알래스카 카운실은 북위 64도 51분, 서경 163도 42분에 있어요. 툰드라 지역이지만 침엽수가 자랄 수 있는 한계선(수목의 북방한계선) 부근이라서 다양한 식물이 살고 있어요. 남극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결과 최종본선에 오른 6개 팀에 선정됐다. 본격적인 경진대회는 올해 12월에 열린다. 모의 원전사고 현장으로 들어가 밸브를 잠그고 나오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이 대회는 200만 달러(약 22억8000만 원)의 상금이 걸려 있다(과학동아 7월호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기사 참조).본선에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빠른 독자라면 짐작했겠지만, 아지즈 자데 교수의 연구결과는 앞서 말한 시유안 류 연구원의 연구결과와 미묘하게 다르다. 시유안 류의 연구는 창의성이 발휘될 때 배외측전전두 피질의 활성도가 낮다고 말한 반면, 아지즈 자데 교수는 배외측전전 두피질의 활성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다. 주어진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