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학생들이 느끼는 보람과 자부심이 무척 크답니다. 또한 체험전의 경우는 공모 지원부터 부스 운영까지 친구들과 머리를 맞대고 진행하기 때문에, 협동심도 길러지고 다른 곳에서는 얻을 수 없는 귀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답니다. 독자 여러분에게도 수학동아리를 적극 추천합니다!-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이외에도 재밌는 성질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도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그림➊은 원 모양의 피자 내부의 임의의 한 점에서 45° 각도로 잘라 피자를 8조각으로 나눈 것이다. 그러면 이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조각 즉, 분홍색 부분의 넓이 합과 노란색 부분의 넓이의 합은 서로 같다.그런데 이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케플러 덕분에 행성이 타원운동을 한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케플러는 천체가 왜 타원 운동을 하는지는 설명할 수가 없었다. 1687년 뉴턴은 케플러 법칙이 만유인력의 법칙 때문이라는 걸 수학적으로 증명한다.빛의 속도를 잰 수학자 오라우스 뢰머(644~1710)뢰머는 코펜하겐대의 수학교수이자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등 차근차근히 습관을 들였습니다. 2학년 때부터 공부를 시작한 셈이죠.” 김 교수는 원래 공부를 계속해야겠다는 생각은 있었다. 대학 2학년 때부터 자동차 공부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 때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산업이 태동하던 시기였다. 공부를 하면서도 우리나라 최초 상용차 모델인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는 ‘DARPA로보틱스챌린지’에 출전하고 있다.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로봇이 파괴된 원자로로 들어가 사람 대신 사고 현장을 복구하고 나오는 시합이다. 아직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지만 성공하기만 하면 사실상 세계를 구하는 로봇을 개발하는 셈이 된다.오 교수팀은 휴보를 개조한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인문학을 등한시하지 말고, 인문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과학을 배제하지 말라”는 조언을 덧붙였다 ... ...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형형색색, 화려한 색과 무늬로 치장한 이슬람 사원. 그 화려함과 정교함이 놀랍도록 눈부시다. 이슬람 예술가들은 어떻게 이토록 규칙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무늬를 ... 타일링의 조합과 같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오래 전 이슬람 예술가들이 펜로즈 타일링의 원리를 알고 있었던 걸까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여배우가 등장한 라는 제목의 이 영화는 무려 5000억 원을 들여 제작했지만, 고작 70억 원 정도를 벌어들이는 데 그쳤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인공신경망은 독감 유행이나 국가가 추진하는 정책의 성공 여부까지…. 오잉? 이 사람들 다 어디 갔지?하하~! 이제 그만 해도 될 것 같네, 리드. 다들 빨리 ... ...
- [수학뉴스] 수학 암호 풀면, 국가 최고 정보요원 된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앨런 튜링과 같은 암호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풀면 국가 최고 정보요원의 자격을 준다”고 밝혔다.지난해에도 GCHQ는 이와 비슷한 암호를 인터넷에 공개해서 약 320만 명이 참여하는 등 큰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당시 응모자 중 단 170명만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속에 넣고 원통이 돌아갈 때 틈새로 그림을 보는 장치다. 연속된 그림을 회전하고 있는 원통의 세로 구멍을 통해서 보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