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이 꽃할배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의대 아담 그래즐리 교수팀은 ‘뉴로레이서’라고 이름 붙인 3차원 비디오 게임을 개발했다. 이 게임은 조이스틱으로 자동차를 조종하면서 길을 운전하다가, 특정 도형(파란 원)이 화면에 나오면 오른손으로 맞추는 게임이었다. 단순하지만 게임을 하는 사람의 인지능력을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책 ‘위대한 수학문제들’이다. 여기에는 소수와 관련된 골드바흐 추측과 파이와 관련된 원적 문제, 지도에 색을 칠하는 4색 정리 등 학교에서도 들어봤음직한 낯익은 난제부터, 앞서 소개한 질량간극 가설, 호지 추측,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등 제목도 어지러운 문제까지 14가지 위대한 수학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두 가지로 보인다. 첫째, 일본 정부를 신뢰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정기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를 수질검사 해 어민들이 조업을 해도 되는지 점검하고 있다. 현재는 조업 중단 상태다. 인근 지역에서 조업한 수산물도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 후 유통시키고 있다.둘째는 일본 국민으로서 ‘어쩔 수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5개의 홈런을 쳤고, 다른 선수는 10개의 홈런을 쳤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이것을 하나는 원의 넓이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는 반지름을 기준으로 버블로 나타내 보자. 그러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나타난다.그림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준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결과는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없을까? ‘조르당 곡선 정리’란 수학 이론에 주목해 보자. 먼저, 원을 하나 그려보자. 원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이다. 이렇게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을 ‘닫힌 곡선’이라고 부른다. 이제 도형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자. 어떠한 점을 잡아도 닫힌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선정하며 유럽에 도전장을 낸 형국이다.하지만 브레인액티비티맵 연구는 아직 행정부 차원에서 내세운 ‘희망사항’에 불과하다. 구체적인 계획이 없고, 의회의 승인부터 가시밭길이다. 특히 지나치게 졸속이라는 지적이 있다. ‘네이처’와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 계획이 구체화된 것은 201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코펜하겐은 바로 보어가 머물면서 양자역학의 탄생을 주도했던 도시다. 보어의 원자모형은 100년을 맞은 지금 이미 수명을 다했지만, 보어는 양자역학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로 우뚝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2파트 -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868년 어느 날, 장소는 영국이었다. ‘공룡’이라는 이름을 처음 만든 학자 리처드 오언과 ‘다윈의 불독’이라고 불렸던 토머스 헉슬리가 한 강연 ... 화석을 700파운드(오늘날 가치로는 1억 원)에 샀는데 현재 이 정도로 보존된 시조새 화석은 16억 원이 넘는다. 1억 년이 넘은 깃털의 가치다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야기 하나양강 땅에 큰 부자가 살았다. 아들은 없고 십 오륙 세 되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시름시름 앓더니 명의를 모두 불러 보여도 차도가 없었다. 병을 ... 모든 것을 바라보았다. 원숭이가 그 모든 것을 바로 보았다.원숭이가 날지 못했다.원숭이가 날았다.원숭이가 마지막으로 날았다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때문에 기존의 방식으로는 직접 자극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최근 나노재료 기술이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2011년 말, 존 로저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교수팀은 자유롭게 휘어지고 늘어나는 미세 전극 배열을 개발했다. 이 전극은 주름진 대뇌 피질 표면에도 쉽게 부착이 가능해, 뇌 주름 깊은 곳에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