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바퀴벌레는 내성이 강하고 구석구석을 탐색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연구자
들은 여기에 착안한 것. 연구팀은 바퀴벌레에 유전학적으로 변형된 누룩세포를 이식해 유해물질을 맞닥뜨리면 저절로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기조립을 이용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 분야는 이제 막 시작단계다. 그러나
연구자
들은 머지 않아 오늘날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재료와 소자,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MIT 생물학과의 수잔 린드크스트 교수는 이를 멋진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약 1만년 전, 인류는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따라서 독일 내에서 유전자 연구가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많은
연구자
들이 자유로운 연구를 위해 독일을 떠났다”고 밝혔다. 독일 정부에서는 다소 침체된 생명공학 연구 분위기를 되살리기 위해 순수 연구 목적에 한해서는 유전자변형 연구를 허용해 주는 등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야에 적용하는 나노·바이오 융합 사업을 맡게 된 것. 한해 예산 규모가 40억, 총
연구자
수가 1백80명에 달하는 이 사업은 과학기술부 신기술융합사업의 일환으로 10년 간 진행된다.세계적으로 생명과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문 박사는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생명과학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분자로 구조에 따라 전도체 또는 반도체이다.
연구자
들은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정 교수는 “추가 실험을 하던 도중 DNA가 단일가닥이냐 이중가닥이냐에 따라서도 전류량이 달라짐을 확인했다”며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벡터코에이에서는 siRNA를 효율적으로 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통해 기초
연구자
들에게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안전성이 향상돼 인체에 무해한 siRNA 발현 및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아직까지 RNA 간섭 기술이 보편적으로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 5.5등급 허리케인은 태풍 주위의 폭우가 5등급보다 20% 심해지는 등 더 강력해진다.
연구자
들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태풍 횟수가 더 늘어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태풍 발생이 지금과 비슷하더라도 강도는 훨씬 세기 때문에 피해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지구온난화로 바다 수위가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막대기가 훌라후프 형태로 동그랗게 연결되어 있다면 회전모터도 만들 수 있다.최근
연구자
들은 이 개념을 활용해 ‘분자엘리베이터’ 를 만들었다고 2004년 3월 19일자 ‘사이언스’ 에 발표했다. 지름 3.5㎚, 높이 2.5㎚인 이 초소형 나노엘리베이터는 한쪽 끝이 연결돼 있는 세개의 막대기에 역시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분석한 결과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별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자
들은 이 천체가 행성이 아니라 희미한 갈색 왜성일 확률은 1천만분의 1 정도라면서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행성으로 확증된다면 이 이미지가 천문학 교과서를 장식할 것으로 예상했다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미지 또한 특이하다. 목성과 달리 토성에서는 적도 부근에 강한 X선이 집중돼 있다.
연구자
들은 토성의 X선 복사를 토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태양의 X선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규명하지는 못한 상태다.찬드라 망원경은 근지점 9천9백km, 원지점 13만9천km의 타원궤도로 지구를 공전하고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