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덮어 더 이상 나노튜브가 관 모양으로 자라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나노튜브
연구자
들은 산소를 주입해 비정형 탄소를 제거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공 확률이 낮고, 산소로 인해 나노튜브가 산화된다는 단점까지 있다.하타 박사는 “우리는 탄소나노튜브에 해가 없는 더 약한 산화제가 ... ...
기름기 많이 먹으면 머리 나빠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트랜스 지방은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해 지방의 구조를 인위적으로 바꾼 물질이다.
연구자
들은 “유통기한이 짧은 식품을 먹는 것이 당신의 유통기한을 늘리는 길”이라며 트랜스 지방의 섭취를 줄일 것을 권고했다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문을 열어 놔 수증기가 집안으로 퍼지는 정도로도 하루 분의 물기를 얻는데 충분하다.
연구자
들은 “조건이 맞을 경우 침대 매트리스에 최대 1백50만 마리의 진드기가 살 수 있다”며 “자고 난 뒤는 이불을 걷어 매트리스와 이불 사이에 습기를 없애는 게 이들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가운데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는 ‘플로레스의 사람’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 어디에서 온 것일까.
연구자
들은 “이들의 조상은 대략 100만년 전에 이주한 호모 에렉투스일 것”이라며 “섬에 고립돼 근친번식을 하면서 몸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되지 않았을까.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이화여대 생물학과 여창열 교수는 “지난 2002년
연구자
들은 배아의 결절에 인공적인 흐름을 일으켜 유체가 오른쪽으로 흐르게 유도했다”며 “그 결과 심장이 오른쪽에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영국 런던대 심리학과의 크리스 맥마누스 교수는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유 중 하나다.최근들어 지금까지 연구성과와 계획이 입소문을 타고 알려지면서 해외
연구자
들로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의 한 주요연구기관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약속받기도 했다. 우연한 기회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기계학회 발표자로 나섰다가 아시아 기술의 현황을 파악하려고 나온 ... ...
우리은하 두 번째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블랙홀로 추정되는 대상이 존재한다고 ‘천문학 & 천체물리학’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자
들은 군집체에 속한 별들이 공간 속에서 함께 움직이는 현상을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가운데 블랙홀의 중력에 잡혀 이들이 동행한다는 것. 블랙홀은 크게 3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다. 태양보다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만들어주는 큰볼기근은 걸을 때는 가만히 있지만 달릴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들은 “장거리 주행 능력은 현생 인류가 속하는 호모(Homo) 속(屬)이 등장한 약 200만년 전에 갖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이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구분되는 면”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이들은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아무튼 이렇게 얻은 방정식의 해가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그럴듯한 영상으로 구현되면
연구자
들은 환호성을 올린다. 그리고 영상에서 미흡한 부분은 미분방정식 항의 상수나 변수를 바꿔가면서 개선하면 된다. 즉 그림을 다시 그리거나 그래픽에서 수정작업을 하는 대신 자판기의 숫자버튼만 몇개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어렵다. 따라서 DNA가 핵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전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연구자
들은 양전하를 띤 고분자를 이용해 DNA를 중화시킨 후에 나노입자로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때 고분자에 여러 센서를 부착하면 한층 고차원적인 약물전달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타겟이 되는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