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번쩍 들어 올리는 아이언맨 팔. 매처럼 볼 수 있는 눈, 슈퍼컴퓨터보다 더 빠른 뇌…, 영화 속 얘기 같지만 조만간 현실이 될 것들이다. 그동안 우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제조사가 해당 오류에 대해 모르거나, 알고는 있지만 아직 오류 수정을 하지 못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상의 보안 취약점을 말한다. 제조사가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패치를 개발하기 전까지는 누구나 공격 가능한 헐거운 성벽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취약점을 노린 해킹기술(스파이앱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망막에 이식하면 색소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시신경을 자극한다. 카메라나 소형컴퓨터 등 외부기기가 불필요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 쥐 실험에만 성공한 상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슈퍼눈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해킹그룹 ‘대중을 위한 과학’은 깜깜한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결합해 하나의 통합적인 시스템을 이룬 존재를 일컫는다. 스마트폰 같은 장비들은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해 점점 더 우리 신체 내부로 들어올 것이며, 우리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한 채 다양한 기계ㆍ전자 장비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학 박사 과정을 밟았거든요. 1958년에는 수학을 토대로 인공지능의 기본 언어인 LISP라는 컴퓨터 언어를 개발했습니다.또 다른 근거로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딥러닝’을 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은 사람의 두뇌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만든 분석체계로, 수학 그 자체라고 해도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달해 여러 사람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일이 매우 어렵습니다. 데이터가 커지면 컴퓨터가 분석을 못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해외에서는 수학자들이 발 벗고 나서고 있어요. 대표적인 분이 인간게놈(유전체)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에릭 랜더예요. 현재 매사추세츠공과대 생물학과 교수로 있지요.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들 수 있고 컴퓨터의 원리를 잘 몰라도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처럼, 합성생물학도 컴퓨터처럼 분업화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도약의 기회를 제공했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현재 합성생물학에 이용되는 유전자부품은 표준화4)된 것들이다. ‘모든’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구축하지 못한 시스템이다.바다에선 안전이 최우선이사부 호는 아라온 호와 마찬가지로, 컴퓨터로 가고자 하는 지점을 입력하면 배가 알아서 찾아가는 자동항법장치를 쓰고 있다. 덕분에 파고가 5m 정도 되는 바다에서도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을 ‘다이나믹 포지셔닝(DP)’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말할 수 있겠네요. 제가 학부에 진학할 때 한창 IT 붐이 일어 컴퓨터공학을 전공으로 선택했습니다. 막연하게 과를 선택하다 보니 제 적성과 너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의공학으로 전공을 바꿨습니다. 보통은 학과를 선택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나 연구주제를 ...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요. 컴퓨터나 TV를 보는 시간도 많고, 밖에서 이동할 때에도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전보다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아졌지요. 학생들의 경우에도 안경을 쓰는 친구들이 안경을 쓰지 않는 친구들보다 더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