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야기도 척척~!딥러닝은 ‘창의력’이 필요한 일에서도 힘을 발휘해요.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부 장병탁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이 이야기를 스스로 추론하는 ‘상상력 기계’를 연구하고 있어요.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설계한 다음, 이 프로그램에게 애니메이션 ‘뽀로로’ 시리즈를 모두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위해서는 악당들을 요리조리 피해 깃대가 있는 곳까지 가야합니다.그런데 최근 MIT 전기
컴퓨터
공학과 에릭 드메인 교수팀이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게임이 ‘계산 복잡도 단계’에서도 어려운 문제인 ‘PSPACE’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증명해, 지난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재미있는 알고리듬에 관한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마이크로소프트 면접 문제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글을 쓴 인도 와갈라 기술연구소
컴퓨터
학과 프래샨트 바그디아는 친구가 이 문제를 풀지 못해 애를 먹었다고 소개했습니다.얼핏 보기에 문제는 아주 쉬웠습니다. 뭘 이런 걸 문제로 내지 싶을 정도지요. 마이크로소프트가 낸 문제는 ‘직각삼각형의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월하게 채점을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자율전공교수 강선일은 무척 기분이 좋았다.
컴퓨터
공학과의 한진영 교수가 만들어 준 AI는 학생들의 행동 자체를 채점해서 깔끔하게 데이터를 정리해 주었다. 뭐가 어떻게 된 건지 로봇의 무릎관절이 한 번 나가 있었던 적은 있었지만 (한진영 교수에게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에서 이미 12만 개 이상의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거예요. 아무리 연산이 뛰어난
컴퓨터
라고 해도 바둑에서 주어지는 시간 안에 이기는 바둑을 두기는 불가능해요.게다가 바둑은 복잡한 전략이 필요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자주 펼쳐져요. 그래서 그 동안 바둑에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받은
컴퓨터
는 차량의 속도와 방향을 바꿔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해요. 이처럼 센서와
컴퓨터
가 정보를 주고받으며 사람처럼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몸 자체가 입력장치가 돼요. 키보드나 마우스의 역할을 몸이 대신 하는 거죠. 보통
컴퓨터
속 가상공간에 있는 물체를 움직이려면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해야 해요. 하지만 가상현실 기술에서는 직접 손으로 이리저리 돌리면서 물건을 움직여 볼 수 있지요. 그래서 더욱 실감나는 경험을 할 수 ... ...
Intro. 생생 캐릭터, 연기력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합니다. 요즘 연기파 배우 못지않게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는 이가 있다는데…. 바로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캐릭터입니다. 영화 ‘도리를 찾아서’의 니모와 도리가 대표적이지요. 이들이 진짜 물고기와 꼭 닮은 외모로 능청스럽게 연기하는 모습을 보세요. ‘연기파 물고기’가 따로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점점 늘어날 것 같고요.지금까지 생생한 캐릭터 배우의 비밀을 살펴봤습니다. 언젠가는
컴퓨터
로 만든 캐릭터가 인상 깊은 연기로 인간을 제치고 주연상을 거머쥘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고민 중 이었다. 고속 DNA 서열 해독법은 아직 없었고, 유전자 계통도를 분석할 고성능
컴퓨터
도 없던 시절이었다.그가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로는 최첨단 기술이었던 ‘제한효소 단편길이 다형성법(RFLP)’이었다. RFLP는 제한효소로 DNA를 잘라 무작위로 나오는 파편으로 개체 혹은 종별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